첫 조기경보통제기 공개한 김정은…한국 3축 체계 '정조준'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7일 김정은 총비서가 지난 25~26일 새로 개발·생산 중인 각종 무인정찰 및 자폭공격형 무인기를 점검하고 성능시험을 참관했다고 보도했다. 뉴스1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7일 김정은 총비서가 지난 25~26일 새로 개발·생산 중인 각종 무인정찰 및 자폭공격형 무인기를 점검하고 성능시험을 참관했다고 보도했다. 뉴스1

북한이 관영 매체를 통해 ‘하늘의 지휘소’로 불리는 공중조기경보통제기(조기경보기)를 27일 처음 공개했다. 최근 대공 미사일 시험 발사에 이어 북한판 조기경보기까지 공개한 건 취약한 방공망을 보강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다만 군 당국은 “정상 운영이 가능할 지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27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25~26일 ‘무인항공기술연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의 국방과학 연구사업을 지도했다고 전했다. 김정은이 이들이 개발·생산하고 있는 각종 무인 정찰기와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자폭 공격형 무인기의 성능 시험을 참관했다면서다.

김정은은 이 자리에서 “무인 장비와 인공지능 기술 분야는 최우선으로 발전시켜야 할 부문”이라면서 “이는 우리 군대의 각종 정보 수집 작전 능력을 제고해주며 적의 전투 수단들을 무력화하는 데 위력을 발휘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매체는 “시험에서는 각각의 전략 대상들과 지상·해상에서 적군의 활동을 추적 감시할 수 있는 탐지 능력을 갖춘 신형 무인 전략 정찰기의 혁신적 성능이 확증됐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김정은이 조기경보기로 보이는 항공기에 올라 내부를 둘러보는 사진도 보도했다. 기내엔 콘솔·대형 디스플레이도 여러 대 있었다. 


북한판 조기경보기는 외형상 러시아제 일류신(IL)-76 수송기에 레이돔(radome·레이더의 안테나 등을 보호하는 원형 덮개)’을 부착한 모습이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중국·인도 등이 레이돔 방식의 조기경보기를 운용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5~26일 새로 개발·생산하고 있는 무인항공기술연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의 국방과학연구사업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7일 보도했다. 사진은 북한이 처음으로 공개한 공중조기경보통제기로 보이는 비행기의 내부 모습.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25~26일 새로 개발·생산하고 있는 무인항공기술연합체와 탐지전자전연구집단의 국방과학연구사업을 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7일 보도했다. 사진은 북한이 처음으로 공개한 공중조기경보통제기로 보이는 비행기의 내부 모습. 연합뉴스

앞서 북한 전문 매체 38노스는 지난 2023년 10월 민간 위성 사진 분석을 근거로 “북한이 IL-76을 조기경보기로 개조하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불과 1년 5개월 만에 개조·개발이 이뤄지긴 쉽지 않은 만큼 북한이 제재를 우회해 레이더와 같은 핵심 장비는 아예 주변국에서 확보했을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합참 관계자도 "내부 장치·부품들은 러시아와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을 비롯한 선진국들이 운용하는 조기경보기는 전투기·미사일 등 공중 위협을 사전에 탐지하고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북한의 조기경보기 운용은 궁극적으로 한국의 3축 체계의 킬 체인(Kill Chain)·대량응징보복(KMPR) 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방공망 강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조기경보기 공개에 앞서 북한은 20일 “최신형 반항공(대공) 미사일” 시험 발사도 공개했다.

南보다 10년 늦은 첫 조기경보기…군은 “성능 지켜봐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미국의 글로벌호크를 따라한 것으로 보이는 무인 정찰기 앞에 서 있다.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미국의 글로벌호크를 따라한 것으로 보이는 무인 정찰기 앞에 서 있다. 연합뉴스

다만 군 당국은 실제 성능에 대해선 회의적인 분위기다. 조기경보기는 수집한 감시 정보를 정보 공유 체계(데이터 링크)를 통해 공군중앙방공통제소(MCRC)와 같은 지상 지휘 체계로 전송하고, 이를 해·공군 등의 전력과 주고 받는 게 핵심이기 때문이다. 

합참 관계자는 "정상 운영이나 효용성 측면에서 평가가 필요하다"며 "오늘 공개한 조기경보기는 둔중하고 요격에도 취약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반면 공군이 2011년 도입한 E-737 피스아이는 데이터 링크-MCRC를 통해 공군의 항공 전력, 해군의 이지스함은 물론 미 측과도 정보 공유가 가능하다. 한반도 전역을 감시·탐지할 수 있는 전자식 MESA 레이더를 적용해 유사시 지상 레이더가 파괴되더라도 공중에서 지휘 통제 체계를 유지할 수 있다. 공군은 피스아이 4대를 운용하고 있으며 향후 4대를 추가 도입할 예정이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7일 김정은 총비서가 지난 25~26일 새로 개발·생산 중인 각종 무인정찰 및 자폭공격형 무인기를 점검하고 성능시험을 참관했다고 보도했다. 뉴스1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27일 김정은 총비서가 지난 25~26일 새로 개발·생산 중인 각종 무인정찰 및 자폭공격형 무인기를 점검하고 성능시험을 참관했다고 보도했다. 뉴스1

한편 27일 북한 보도에선 미국의 고고도 정찰 무인기인 RQ-4 글로벌호크를 베낀 것으로 보이는 무인 정찰기 사진도 있었다. 지난 2023년 6월 열병식에서 공개한 샛(새)별-4형보다 날개가 더욱 길어진 모습이었다. 북한은 또 자폭형 무인기가 한국의 K806 차륜형 장갑차, 지대지 미사일 현무의 이동식발사대(TEL)로 보이는 가상 표적에 명중하는 사진도 공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