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소속 조합원들이 27일 서울 세종대로 광화문광장에서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일 지정을 촉구하며 총파업 집회를 열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노총은 이날 오후 헌법재판소에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 지정을 촉구하며 서울·경기·인천·부산·대구·광주 등 전국 15개 지역에서 총파업 결의 대회를 열었다. 서울에선 오후 3시 서울역·세종호텔·서울고용노동청 등 3곳에서 모여 광화문 동십자각 방향으로 행진했다.

27일 서울 중구 서울고용노동청 앞에서 민주노총의 총파업 집회가 열리자 일대 교통이 혼잡을 빚었다. 차선 우회를 하려는 차들이 뒤엉켜있는 모습. 김서원 기자
파면 촉구를 주도하는 단체인 윤석열 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비상행동)은 ‘전국 시민 총파업 행진’을 했다. 이들은 이날 오후 2시 30분 서울역·혜화역·신촌역 등 3곳에서 출발해 민주노총 행렬에 합류하는 식의 시가행진을 벌였다. 혜화역 3번 출구 앞에 모인 공연예술인노조·서울연극협회·경실련 등 소속 100여 명은 “내란 세력 진압하자” “내란 동조 국민의힘 해체하라”고 외치며 깃발이나 응원봉을 흔들었다. 연단에 선 사회자가 전날 경복궁 앞으로 진입한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 소속 트랙터 1대가 경복궁역 방향으로 행진한 것을 언급하며 “서울에서 트랙터 구경 잘했나. 우리 계속해서 힘내자”고 말하자 시위 참여자들이 환호했다.

27일 오후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서울 도심을 행진하면서 도로가 통제되고 있다. 이아미 기자
오후 4시쯤 광화문 앞 세종대로 6차로 본집회장엔 경찰 비공식 추산 2만 명의 민주노총 조합원과 비상행동 참여자들이 모였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대회사에서 “지난 4개월 동안 우리의 삶은 철저히 파괴됐다”며 “사생결단의 투쟁을 각오하고 이 자리에 모였다”고 말했다. 양 위원장은 “헌재는 민주주의를 배반하고 주권자의 명령을 배신했다. 헌재도 심판의 대상”이라고 했다.
탄핵을 촉구하는 단체들은 전날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내란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일해온 우리에게 단 하루의 파업은 정당하다” “하루 연차, 반차를 쓰거나 잠시라도 일을 멈추고 SNS에 총파업을 지지하는 글을 올리자” 등의 글을 올리며 참가를 독려했다. 이에 평일 낮 집회였지만, 대학생 단체의 ‘동맹 휴강’ 독려 등으로 집회에 참여한 대학생들이 눈에 띄었다. 서모(20)씨는 “전공 수업 교수님께 집회 간다고 말씀드렸더니 괜찮다고 다녀오라고 하더라”고 전했다. 홍익대 재학생 이모(21)씨는 “이재명이 반극우 정서의 핵심이라 유죄 판결을 받았다면 구심점을 잃었을텐데 그렇지 않아서 다행”이라고 전했다. 그는 전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2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뒤 한층 고조된 분위기를 대변했다.

27일 서울 광화문 앞 세종대로 일대에서 민주노총 총파업 본집회가 열리자 일대 시내 버스 운행이 우회하면서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다. 한 시민이 귀를 막고 집회 무대를 바라보고 있다. 김서원 기자
도심 곳곳 정체에 시민들 불편
대중교통을 이용하려는 시민들도 우회하거나 배차 간격이 길어진 버스를 기다리며 발을 동동 굴렀다. 60대 김모씨는 “평소 5분이면 오는데 20분을 기다렸다”며 “타야 할 버스가 ‘곧 도착’이라고 떠 있는데도 한참을 오지 않는다”고 말하며 얼굴을 찌푸렸다. 광화문 2번 출구 앞 버스정류장에서도 임산부·외국인 등이 버스 탑승을 포기하고 지하철역으로 발걸음을 옮기는 모습이었다.
민주노총은 다음 달에도 선고일이 지정되지 않으면, 매주 목요일 총파업을 계속하겠다고 예고했다. 이에 고용노동부는 전날 입장문을 내고 “정치 파업으로 노조법상 보호받을 수 없는 불법행위이며 법령 위반 행위에 대해 법과 원칙 따라 조치해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