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시내 한 식당에 폐업 안내문이 붙은 모습. 연합뉴스
27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영국의 경제 분석 기관인 캐피털 이코노믹스(CE)는 26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서 한국의 2024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0%에서 0.9%로 하향 조정했다. 이는 최근 바클리(1.6%→1.4%), HSBC(1.7%→1.4%), S&P(2.0%→1.2%) 등 주요 기관들의 하향 조정 흐름 속에서도 가장 낮은 수치다.
CE는 보고서에서 "정치가 안정되더라도 경제가 어려울 듯하다"며 "금리 인하나 수출은 도움이 되겠지만 정부 지출 둔화 등으로 올해 시장 전망치보다 낮은 0.9% 성장을 전망한다"고 밝혔다.
물가 상승률에 대해서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9%로, 한국은행의 목표치인 2%를 밑돌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한국은행이 현재 연 2.75%인 기준금리를 올해 말까지 2.00%로, 총 0.75%포인트 인하할 것으로 예측했다.
외환시장에선 원화값이 떨어져 현재 1달러당 1460원대 중반에서 연말에는 1500원대로 밀릴 것으로 내다봤다. 또 환율은 내년과 후년까지도 1500원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주식시장에 대해서는 코스피가 올해 말 2900선까지 오르겠지만, 내년 말에는 2200 수준으로 하락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치적 불확실성도 경제 전망에 큰 영향을 미친 요소로 언급됐다. CE는 지난 21일 발표한 별도 보고서에서 한국의 정치 상황을 주요 리스크로 지목하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이 가장 주목된다"고 밝혔다.
CE는 "만일 윤 대통령 탄핵이 기각될 경우 이는 한국을 정치적 혼란으로 더 몰아넣을 수 있다"며 "하지만 (우리가 예상하는 바와 같이) 탄핵이 인용될 경우 새로운 선거가 60일 이내에 실시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야당인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대선에서 승리할 가능성이 크다"며 "민주당이 이미 국회에서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는 보다 정상적인(덜 기능 장애적인) 정치로의 복귀와 소비 신뢰 회복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