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을 이틀 앞둔 2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에서 경찰 병력들이 이동하고 있다. 뉴스1
서울경찰청은 ▲헌법재판소 시설·업무 및 재판관 신변 보호 ▲찬반 단체 간 충돌 방지 ▲대규모 인파로 인한 안전사고 예방 및 신속 대응 등 세 가지 분야에 중점을 둔 치안대책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선고 당일에는 경찰력 100% 투입이 가능한 최고 수준의 비상근무 체제인 '갑호비상' 발령을 검토 중이다. 전국 210개 기동대에서 약 1만4000명을 비롯해 형사기동대, 대화경찰 등 가용 인력을 총동원할 계획이다.
종로, 광화문, 을지로 등 대규모 집회가 예상되는 도심 주요 지역은 '특별 범죄예방강화구역'으로 설정된다. 이들 지역은 총경급 지휘관 8명이 전담해 치안 유지를 총괄한다.
온라인상에서 헌법재판소 및 재판관을 겨냥한 테러·협박 게시물이 이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해, 경찰특공대를 헌재 인근에 배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유사시 초동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재판관 신변 보호를 위해 경호팀을 추가 배치했고, 선고일이 다가올수록 헌재 인근 검문검색을 강화해 흉기 등 위험 물품 반입을 철저히 막을 방침이다.
경찰은 헌재 인근에서 열릴 미신고 집회에 대해서는 '집회 및 시위에 관한 법률'에 따라 엄정히 제한할 계획이다. 집회 간 충돌을 피하기 위해 완충 공간도 충분히 확보한다.
과격하거나 폭력적인 시위에 대비해 이격용 분사기(캡사이신), 경찰봉 등의 장구 사용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안전 펜스와 매트 등 보호 장비도 총동원해 안전사고를 막는다는 방침이다.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폭행·협박 등 불법행위에는 강경하게 대응한다. 경찰은 폭력 선동이나 온라인상 협박글 게시에 대해서도 신속히 수사해 처벌할 계획이다.
선고일에는 헌재 일대가 '비행금지구역'으로 설정돼 드론 비행이 제한된다. 불법 비행 시 전파차단기 등을 활용해 현장에서 드론을 포획하고 조종자에게는 처벌을 예고했다.
지자체 및 소방 당국과도 협업 체계를 갖춘다.
학생 안전을 고려해 헌재 인근 11개 학교는 선고 당일 휴교하며, 안국역은 폐쇄된다. 인근 지하철역도 인파 밀집도에 따라 무정차 통과를 검토 중이다.
서울시는 선고일 전후로 사흘간 직원 528명을 현장에 투입해 질서 유지에 나선다. 소방 당국은 구급차 74대를 배치하며, 종로구 등 4곳에서는 현장진료소도 운영한다.
경찰 관계자는 "각 집회 주최 측도 경찰의 안내에 적극 협조해주시길 당부드린다"며 "응급상황 발생 시 구급차가 오갈 수 있는 비상차로 확보를 위해 집결 인원 배치에 신경 써주시고, 관련 기관의 연락이 닿을 수 있는 질서유지인을 충분히 배치해 불상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