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서울 한 대형마트 식료품 모습. 사진 뉴스1
2일 한국경제인협회에 따르면 최근 10년(2014~2024년) 소득분위별 체감물가 추이를 분석한 결과, 소득 하위 20%인 1분위 체감물가 상승률이 23.2%로 조사됐다. 상위 20%인 소득 5분위(20.6%)보다 2.6%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분위별로 보면 1분위 23.2%, 2분위 22.4%, 3분위 21.7%, 4분위 20.9%, 5분위 20.6% 등 소득이 낮을수록 체감 상승률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저소득층 부담을 높이는 가장 큰 요인은 식료품비와 난방비 등 생존과 직결된 비용이다. 저소득층일수록 처분가능소득에서 식비·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절대적으로 크기 때문이다. 실제로 소득 1분위는 식료품·비주류음료(20.9%), 주택·수도·광열(20%), 보건(12.6%) 순으로 지출 비중이 높았지만, 소득 5분위는 교통(13%), 교육(10.5%), 오락·문화(9%) 순으로 높았다. 5분위에서 식료품과 주택 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1.9%와 9%로, 1분위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소득분위별 체감물가 상승률 비교. 한국경제인협회
특히 식료품 물가는 다른 품목과 비교해 눈에 띄게 상승하면서 저소득층을 압박했다. 식료품·비주류음료 물가는 지난 10년간 41.9% 상승해 전체 물가상승률(21.2%)의 2배 수준을 기록했다. 이에 반해 같은 기간 교통(5.3%), 교육(10.6%), 오락·문화(9.2%)는 전체 상승률을 크게 밑돌았다. 코로나 팬데믹이 있었던 2020년의 경우 전체 물가는 0.5% 오르는 데 그쳤지만, 식료품 물가는 4.4%나 급등했다.
최근 영남 지역에서 발생한 대규모 산불로 인해 지역 농가도 피해를 보면서 향후 농산물 물가를 더욱 자극할 우려가 있다. 또 이달부터 유통업계에서 맥주·라면·아이스크림·냉동식품·음료 등 가공식품 가격을 줄줄이 인상한 것도 저소득층에는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10년간 먹거리 물가가 크게 상승하면서 취약계층의 체감물가 부담을 가중하고 있다”며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농산물 수급 안정화 대책을 마련하고 유통규제를 개선하는 한편, 농산물 수입 다변화 등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