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오후 12시(현지시간)께 남색 단체복에 일본 국기 패치를 단 일본 구호대원 30여명이 미얀마 양곤 국제공항 입국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끌고 가는 카트에는 개인 짐과 구호물자 네다섯 개씩을 싣고 있었다. 이들은 미얀마 지진 참사 현장에서 긴급 환자와 생존자들을 돌볼 예정이다.

2일(현지시간) 미얀마 지진 피해를 돕기 위한 일본의 구호대가 양곤 국제공합으로 입국하고 있다. 위문희 기자
그 보다 20여분 앞서 중국 네이멍구 자치구에서 온 중국 구조대 2진 역시 입국했다. 이들은 기자에게 긴장된 표정으로 “(지진 피해가 심한) 만달레이에 가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2일(현지시간) 미얀마 양곤 국제공항에 도착한 중국 구조대원들. 위문희 기자
미얀마 군사정부는 “36편의 구호기를 통해 1143명의 구조대, 12개국에서 1900t이 넘는 구호물자가 미얀마에 도착했다”며 “수색과 구조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지난 1일 발표했다.
이들 해외 구조대는 수도와 전기가 끊긴 열악한 현장에서도 일부 성과를 내고 있다. 2일엔 수도 네피도의 한 호텔 붕괴 현장에서 미얀마·튀르키예 합동 구조대가 26세의 호텔 직원 한 명을 지진이 발생한지 108시간 만에 구해냈다고 한다. 통상 재난 구조의 ‘골든 타임’(72시간)을 훌쩍 넘겨서였다.
또 자국민이 재난을 당했을 가능성이 있는 나라는 구조를 서두르고 있다. 일본도 만달레이에서 연락이 두절된 일본인 한 명이 있다. 일본 언론은 “일본인이 11층 아파트인 스카이 빌라 붕괴에 휘말려 들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2일(현지시간) 미얀마 만달레이의 11층 규모 아파트 스카이 빌라 붕괴 현장에 모인 실종자 가족들. 이도성 특파원

2일(현지시간) 미얀마 만달레이의 병원 모습. 병원 벽에 금이 갈 정도로 피해가 심각하다. 이도성 특파원

2일(현지시간) 미얀마 만달레이의 병원 모습. 병원 벽에 금이 갈 정도로 피해가 심각하다. 병상이 모자라 야외에도 병상을 둬야 하는 상황이다. 이도성 특파원

2일(현지시간) 강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미얀마 만달레이에서 이재민들이 모여 있는 지역. 이도성 특파원
희생자는 계속 불어나고 있다. 이날 군정은 이번 지진에 따른 피해자 규모를 사망자 2886명, 부상자 4639명, 실종자 373명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