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시간 만에 '기적의 생환'…中∙日 구조대도 달려왔다 [미얀마 강진 현장 가다④]

“일본에서 왔다. 네피도로 먼저 가서 구호 활동을 할 거다.”

2일 오후 12시(현지시간)께 남색 단체복에 일본 국기 패치를 단 일본 구호대원 30여명이 미얀마 양곤 국제공항 입국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끌고 가는 카트에는 개인 짐과 구호물자 네다섯 개씩을 싣고 있었다. 이들은 미얀마 지진 참사 현장에서 긴급 환자와 생존자들을 돌볼 예정이다.   

2일(현지시간) 미얀마 지진 피해를 돕기 위한 일본의 구호대가 양곤 국제공합으로 입국하고 있다. 위문희 기자

2일(현지시간) 미얀마 지진 피해를 돕기 위한 일본의 구호대가 양곤 국제공합으로 입국하고 있다. 위문희 기자

 
그 보다 20여분 앞서 중국 네이멍구 자치구에서 온 중국 구조대 2진 역시 입국했다. 이들은 기자에게 긴장된 표정으로 “(지진 피해가 심한) 만달레이에 가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2일(현지시간) 미얀마 양곤 국제공항에 도착한 중국 구조대원들. 위문희 기자

2일(현지시간) 미얀마 양곤 국제공항에 도착한 중국 구조대원들. 위문희 기자

지난달 28일 발생한 7.7 규모의 대지진 참사로 고통을 겪고 있는 미얀마에 국제사회가 구조대를 급파하고 구호품을 보내는 등 온정의 손길을 내밀고 있다.  

미얀마 군사정부는 “36편의 구호기를 통해 1143명의 구조대, 12개국에서 1900t이 넘는 구호물자가 미얀마에 도착했다”며 “수색과 구조에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지난 1일 발표했다.


이들 해외 구조대는 수도와 전기가 끊긴 열악한 현장에서도 일부 성과를 내고 있다. 2일엔 수도 네피도의 한 호텔 붕괴 현장에서 미얀마·튀르키예 합동 구조대가 26세의 호텔 직원 한 명을 지진이 발생한지 108시간 만에 구해냈다고 한다. 통상 재난 구조의 ‘골든 타임’(72시간)을 훌쩍 넘겨서였다.   

또 자국민이 재난을 당했을 가능성이 있는 나라는 구조를 서두르고 있다. 일본도 만달레이에서 연락이 두절된 일본인 한 명이 있다. 일본 언론은 “일본인이 11층 아파트인 스카이 빌라 붕괴에 휘말려 들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2일(현지시간) 미얀마 만달레이의 11층 규모 아파트 스카이 빌라 붕괴 현장에 모인 실종자 가족들. 이도성 특파원

2일(현지시간) 미얀마 만달레이의 11층 규모 아파트 스카이 빌라 붕괴 현장에 모인 실종자 가족들. 이도성 특파원

실제로 전날 만달레이에서 네피도로 가는 도로의 휴게소에선 일본 구조대원 10여명이 착잡한 표정으로 대화하는 모습이 목격되기도 했다. 하지만 90여명이 매몰된 스카이 빌라에선 아직도 생존자 소식이 전해지지 않고 있다. 실종자 가족들은 아파트 인근에 모여 애타게 구조 소식을 기다리고 있었다. 하지만 “어제 발견된 10명, 오늘(2일) 발견된 1명 모두 사망자였다”(스카이 빌라 실종자 가족)는 안타까운 소식만 전해졌다.   

2일(현지시간) 미얀마 만달레이의 병원 모습. 병원 벽에 금이 갈 정도로 피해가 심각하다. 이도성 특파원

2일(현지시간) 미얀마 만달레이의 병원 모습. 병원 벽에 금이 갈 정도로 피해가 심각하다. 이도성 특파원

지진으로 곳곳에 벽에 금이 간 만달레이의 한 병원에선 의료진이 희미한 형광등 불빛에 의지해 부상자들을 돌보는 데 여념이 없었다. 부상자들로 발 디딜 틈을 찾을 수가 없을 정도였다. 병상이 모자라고 여진에 따른 붕괴도 우려되는 탓인지 병원 밖에도 병상이 빼곡했다.  

2일(현지시간) 미얀마 만달레이의 병원 모습. 병원 벽에 금이 갈 정도로 피해가 심각하다. 병상이 모자라 야외에도 병상을 둬야 하는 상황이다. 이도성 특파원

2일(현지시간) 미얀마 만달레이의 병원 모습. 병원 벽에 금이 갈 정도로 피해가 심각하다. 병상이 모자라 야외에도 병상을 둬야 하는 상황이다. 이도성 특파원

미얀마 군정이 2일 강진 피해 수습을 위해 3주간의 일시 휴전을 선포한 점은 청신호다. 앞서 반군측이 제안한 휴전에 군정은 거부입장을 보여왔다. 휴전은 즉시 발효돼 22일까지 이어진다. 

2일(현지시간) 강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미얀마 만달레이에서 이재민들이 모여 있는 지역. 이도성 특파원

2일(현지시간) 강진으로 큰 피해를 입은 미얀마 만달레이에서 이재민들이 모여 있는 지역. 이도성 특파원

미얀마 지원을 위한 국제사회의 호소 역시 계속되고 있다. 국제구조위원회(IRC)는 “미얀마의 인도적 위기 상황이 붕괴 직전에 도달했다. 국제사회의 즉각적인 대응과 인도적 지원을 촉구한다”고 2일 밝혔다. 유엔아동기금(UNICEF·유니세프)도 “어린이들이 생존 위기와 함께 트라우마를 겪고 있어 지원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희생자는 계속 불어나고 있다. 이날 군정은 이번 지진에 따른 피해자 규모를 사망자 2886명, 부상자 4639명, 실종자 373명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