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코스피, 美상호관세 충격…2.7% 급락 2430대 출발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한국에 25%의 상호관세 세율을 적용한 가운데 3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가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68.43p(2.73%) 내린 2437.43으로 시작했다. 원달러 환율은 4.4원 오른 1471.0원으로, 코스닥은 14.10p(2.06%) 내린 670.75로 개장했다.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가 한국에 25%의 상호관세 세율을 적용한 가운데 3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에서 딜러가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날보다 68.43p(2.73%) 내린 2437.43으로 시작했다. 원달러 환율은 4.4원 오른 1471.0원으로, 코스닥은 14.10p(2.06%) 내린 670.75로 개장했다.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조치에 코스피·코스닥이 장 초반 급락했다.

3일 코스피 지수는 전일(2505.86) 대비 68.43포인트(2.73%) 내린 2437.43에 개장했다. 

이후 낙폭을 일부 회복하고 있다. 오전 9시 27분 코스피는 전장보다 43.58p(1.74%) 하락한 2462.28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731억원, 1549억원 순매도하고 있고 개인은 3174억원 순매수 중이다. 코스피200선물 시장에서도 외국인은 24억원 매도 우위다.

특히 삼성전자(-2.55%), SK하이닉스(-3.69%) 등 반도체주를 비롯해 LG에너지솔루션(-4.56%), 현대차(-3.16%), 기아(-2.93%), 현대모비스(-3.77%) 등 주요 수출주가 큰 폭으로 내리고 있다. KB금융(-3.11%), 신한지주(-3.08%), 메리츠금융지주(-1.65%) 등 금융주도 약세다.


관세에서 비교적 자유롭다고 평가받는 NAVER(0.36%), 카카오(1.83%) 등 소프트웨어주는 상승 중이다.

코스닥 지수는 전일(684.85)보다 14.10p(2.06%) 밀린 670.75에 거래를 시작한 뒤 하락세가 약해지고 있다. 오전 9시 27분 기준 코스닥은 전장보다 3.78p(0.55%) 하락한 681.07이다. 개장 직후에는 669.85까지 내려 장중 연저점을 경신했다.

코스닥시장에서 개인과 기관이 각각 10억원, 225억원 순매도하고 있고 외국인이 258억원 순매수 중이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일 주간거래 종가(1466.6원)보다 4.4원 오른 1471.0원에 출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 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 관세 부과와 관련된 행정 명령에 서명한 후 이를 들어 보여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에 대해서는 25% 상호 관세를 산정했다.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 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 관세 부과와 관련된 행정 명령에 서명한 후 이를 들어 보여주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에 대해서는 25% 상호 관세를 산정했다.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오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한다는 내용을 담은 상호 관세 방침을 발표했다.

다른 나라의 관세 및 비관세 무역장벽에 따라 미국 기업이 받는 차별을 해소한다는 명목의 이번 상호관세는 기본관세(5일 시행)와 이른바 ‘최악 국가’에 대한 개별 관세(9일 시행)로 구성돼 있다.

한국에 더해 중국, 일본, 유럽연합(EU), 대만 등 미국의 주요 무역상대국에는 기본관세 이상의 상호관세가 부과됐다.

이에 따르면 국가별 상호 관세율은 중국 34%, 유럽연합(EU) 20%,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인도 26% 등이다. 또 태국에는 36%, 스위스 31%, 인도네시아 32%, 말레이시아 24%, 캄보디아 49%, 영국 10%, 남아프리카공화국 30% 등을 적용한다.

전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이 모든 수입품에 대해 전면적인 관세를 부과하기로 한 데 따라 ‘트럼프 관세발(發) 관세 전쟁’은 글로벌 수준으로 확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