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일 산불 피해를 입은 주왕산국립공원에 불에 탄 팻말이 바닥에 떨어져 있다. 천권필 기자
2일 경북 청송군 주왕산국립공원사무소 상황실에서 만난 안호경 소장은 지난달 25일 거대한 화마가 주왕산을 덮친 끔찍했던 순간을 이렇게 기억했다.

2일 산불 피해를 입은 주왕산국립공원 입구에 잔불 대응을 위해 소방차가 출동했다. 천권필 기자
경북 산불은 국립공원에도 전례 없는 피해를 남겼다. 국립공원공단에 따르면, 주왕산국립공원 내 피해 면적은 여의도의 11배가 넘는 3260ha로 추정된다. 공원 전체(1만 600ha)의 3분의 1 가까이가 화마에 휩쓸린 것이다. 1967년 국립공원 제도가 도입된 이후 산불 피해가 가장 컸던 건 재작년 3월 지리산 산불로 당시 피해 면적은 128ha이었다.
태풍급 강풍·소나무 많은 청송, 불길 키웠다

2일 경북 청송군 주왕산국립공원 인근 소나무림이 불에 탄 모습. 천권필 기자
안 소장은 “태풍급 강풍을 타고 상상도 못 했던 산불이 순식간에 오면서 대피령을 내리고 일부만 사무소에 남았는데 다행히 불길이 여기까지 넘어오지는 않았다”고 말했다.
대전사 지켜낸 활엽수림 “산불 방어선 역할”

지난달 26일 오후 어둠이 내린 경북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 주왕산국립공원에 산불이 번지고 있다. 산불이 번진 주왕산 아래 대전사 사찰이 있다. 뉴스1
소나무 등 침엽수는 산불에 취약하고 불똥이 하늘로 튀어 오르는 비화(飛火) 현상을 일으킨다. 반면 활엽수는 불길이 땅을 따라 비교적 약하게 가기 때문에 산불의 완충지대가 될 수 있다. 국립공원연구원에 따르면, 주왕산국립공원에서 활엽수림은 60%가 넘는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침엽수림 비율은 34% 정도다.

정근영 디자이너
현장 조사를 위해 이날 주왕산을 찾은 명현호 국립공원연구원 박사는 “대전사 주변에는 소나무림이 있기 때문에 불길이 남쪽으로 넘어왔으면 피해가 훨씬 더 컸을 것”이라며 “수분을 많이 머금은 습성림과 활엽수림의 활엽수들이 산불의 방어선 역할을 톡톡히 했다”고 말했다.

2일 산불 피해를 입은 주왕산국립공원에서 현장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천권필 기자
“자연복원 동시에 문화재 지킬 내화수림 필요”

2일 주왕산국립공원 입구의 대전사. 대전사 뒤로 소나무림이 보인다. 불길이 대전사까지 번지지 않으면서 산불을 피할 수 있었다. 천권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