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여행 증가…아고다·트립닷컴서 항공권·숙박 피해상담 급증

설 연휴인 지난 1월 27일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털 출국장이 이용객으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설 연휴인 지난 1월 27일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털 출국장이 이용객으로 붐비고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엔데믹(endemic·풍토병화된 전염병) 이후 해외여행이 완전히 정상화되면서 관련 소비자 불만도 늘었다.  

4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제 거래 관련 소비자 상담 건수는 2만2816건으로 전년(1만9418건) 대비 17.5% 증가했다.  

거래 유형별로는 해외 직접구매(직구) 관련 상담이 1만4720건으로 가장 많았고 구매·배송 대행 서비스 상담이 7566건이었다.

해외직구에서는 서비스 구매 관련 상담이 1만395건으로 대다수를 차지했다. 전년(7029건)보다 47.9%나 늘어 증가 폭도 두드러졌다.

해외여행 정상화 후 온라인 여행사 플랫폼 소비자 상담 늘어
해외직구 외 항공권이나 숙박 관련 상담이 대다수였다. 해외여행 수요가 급증하는 추세와 맞물려 온라인 여행사(OTA) 플랫폼을 이용하는 소비자가 늘면서 관련 소비자 상담도 많아진 것으로 소비자원은 분석했다.


실제 지난해 전체 국제 거래 상담 건수 가운데 상세 품목이 확인된 2만2758건을 분석해보니 항공권과 항공 서비스가 6737건(29.6%)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류·신발이 4012건(17.6%)으로 두 번째로 많았고 숙박(예약)이 3735건(16.4%)으로 그 뒤를 이었다.

항공권·항공 서비스의 불만 유형은 취소·환불·교환 지연과 거부가 2813건(41.8%)으로 최다였다. 위약금·수수료 부당 청구(2166건·32.2%), 계약불이행(1261건·18.7%) 등도 많았다.

싱가포르 > 중국 > 미국 > 스웨덴 등…불만 접수 많아
해외 사업자의 소재지가 확인된 1만2800건을 국적별로 보면 싱가포르가 5636건(44.0%)으로 가장 많았고 중국(홍콩) 2590건(20.2%), 미국 1175건(9.2%), 스웨덴 854건(6.7%), 말레이시아 349건(2.7%) 등의 순이었다.

중국(홍콩)은 1년 새 123.1%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다. 중국계 전자상거래(이커머스) 플랫폼인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관련 상담 증가가 주원인으로 파악된다.

알리익스프레스·테무 관련 상담 건수는 2023년 680건에서 지난해 1460건으로 1년 새 114.7%나 늘었다.

증가율이 두 번째로 높은 싱가포르의 경우 글로벌 OTA인 아고다·트립닷컴 상담이 2778건에서 5559건으로 두 배로 증가한 게 주원인이었다. 2개 사 관련 상담은 싱가포르 전체 상담의 98.6%를 차지했다.

소비자원은 국제 거래 피해를 예방하려면 거래 전 판매자 정보와 거래 조건, 사기 의심 사이트 등록 여부 등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피해를 봤다면 ‘국제거래 소비자포털’(crossborder.kca.go.kr)에 도움을 요청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