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사람 따라가" 노인의 편지…형사는 그 밥값에 오열했다

추천! 더중플 - 고독사 현장에서
고독사 현장을 20년째 찾아다니는 한 형사가 있습니다. 담당 사건이 아니어도, 쉬는 날에도 예외는 없는데요. 사비를 털어 현장을 청소하고, 무연고자 장례를 돕고, 고독사 실태를 자료로 남기며 봉사활동을 이어왔습니다.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고자 현장 경험을 모아 책『고독사는 사회적 타살입니다』를 쓰기도 했고요. 오늘 ‘추천! 더중플’에선 형사의 이야기를 따라가봅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더중앙플러스 구독 후 보실 수 있습니다.
소방관이 출입문을 뜯자 바짝 마른 구더기가 현관 입구에 쌓여 있었다. 부산영도경찰서 수사지원팀장 권종호(56) 경감이 찾은 고독사 현장엔 생명체라곤 하나도 없었다. 거실 한쪽엔 반려견의 사체가 굳어 있었고, 안방엔 구더기와 파리의 사체가 방 전체를 뒤덮었다. 그 사이로 미라처럼 말라 버린 60대 여성의 시신이 발견됐다.

사인은 지병. 그런데 시체의 훼손 상태가 심각했다. 주인이 사망하자 배가 고픈 반려견이 주인의 시체를 훼손했기 때문이다. 출입문에는 반려견이 할퀸 자국이 선명하게 남아 있었다. 철문이 긁힐 정도로 문을 할퀴고 또 할퀸 것이다. 고인과 반려견 모두에게 고독하고 쓸쓸한 죽음이 되었을 걸 생각하며 권 경감은 현장을 정리했다.

중앙포토

중앙포토

고독사 현장은 늘 참혹했다. 늦게 발견된 시신은 심하게 훼손돼 있고, 가족이 있어도 시신을 인수하겠다고 나서는 경우가 흔치 않았다. 누군가 장례를 치러주지 않으면 무연고자로 처리돼 이름 없이 사라졌다. 권 경감은 20년째 고독사 현장을 찾아 다니고 있다. 주변에선 “담당 업무도 아닌데 그렇게까지 해야 하느냐”고 묻지만 권 경감은 이렇게 말했다. “누군가는 그들의 마지막을 기억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남다른 사명감으로 20년째 고독사 현장을 찾고 있는 부산영도경찰서 권종호 경감. 송봉근 기자

남다른 사명감으로 20년째 고독사 현장을 찾고 있는 부산영도경찰서 권종호 경감. 송봉근 기자

그는 “죽음은 피할 수 없지만, 고독사는 피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 키는 ‘현장’에 있었다. 고인이 남긴 메시지를 보면 어떤 대책이 필요한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권 경감을 직접 만나 현장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인터뷰 전문에 이런 내용을 담았어요
📌고독사, 어쩌면 우리 모두의 이야기 
📌구더기 속 시신, 이곳은 지옥이었다
📌타살 아니면 종결, 고독사 왜 파악 힘든가
📌20년 발품 팔아 고독사 사연 듣는 경찰
📌고독사를 피하는 두 가지 방법

✅1. 고독사, 어쩌면 우리 모두의 이야기

 


20년간 고독사 현장에 다니셨는데, 고독사는 어떻게 발생하나요.    
노인 고독사의 원인 대부분은 사회적 고립이에요. 곁에 아무도 없어 도움을 못 받는 거죠. 대부분 늙고 아파서, 심정지로 인한 사망이 많죠. 반면 청년들은 압도적으로 자살이 많습니다. 이유는 다 경제적 빈곤이고요. 사회에서 조금만 도움을 준다면 이 청년들 다 살릴 수 있었을지 몰라요. 어른으로서 정말 미안하죠.

고독사엔 나이가 없네요.  
현장에서 보면 진짜 먹먹해요. 20대 초반부터 30대까지 한창 꿈을 키우며 살 때거든요. 두 평 남짓한 고시텔에서 죽음을 맞이한 30대 청년은 죽기 전까지 새벽엔 막일, 밤에는 편의점 아르바이트하며 쉬지도 않고 일했대요. 본인이 엄마 병원비를 마련해야 했거든요. 얼마나 힘들었을까, 보고 있으면 가슴이 찢어집니다. 내가 좀 더 빨리 알았다면 달랐을까 싶은 거죠.

가장 힘들었던 현장이 있었나요?
제가 변사 현장에 정말 많이 가봤는데, 그렇게 울었던 경험은 처음이었어요. 한 할아버지가 돌아가신 현장에 간 적이 있어요. 악취는 있었지만, 보통의 고독사 현장보다 깨끗했어요. 할아버지가 주변을 깨끗하게 정리하고 돌아가신 것 같았어요. 연탄을 피우고 자살하셨는데, 현장을 정리하던 중에 장롱 아래에서 흰 봉투를 발견했어요. 봉투 안에는 편지 한장과 5만원권 두 장이 들어 있었어요. 편지를 읽고, 그러면 안되는데 현장에서 울음이 터졌어요.  

(계속) 
할아버지는 편지에 어떤 내용을 남겼을까요. 할아버지에겐 어떤 사연이 있었던 걸까요. 권 경감은 고독사를 두고 “언젠가 당신의 이야기가 될지도 모른다”고 말합니다. 자식이 떠나고, 배우자가 죽으면 누구나 홀로 삶의 마지막을 준비해야 하니까요. 권 경감의 인터뷰 전문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세요. 

▶“집사람 따라가” 노인의 편지…형사는 그 밥값에 울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2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