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민주당사에서 제21대 대통령 선거 출마 공식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스1
7일 민주당에서 처음으로 대선 도전을 공식화한 김두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출마 선언부터 오픈 프라이머리 도입을 강하게 주장했다. 김 전 의원은 “계엄에 반대하고 탄핵에 동의한 모든 세력이 함께하는 완전 개방 오픈 프라이머리를 제안한다”고 말했다.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경선으로는 본선 승리가 어렵다”면서다.
김 전 의원이 이날 주장한 오픈 프라이머리는 조국혁신당이 “범진보 진영 정당 모든 후보가 경쟁하고, 여기에 대해 해당 정당의 당원 뿐 아닌 일반 국민 모두가 투표할 수 있다”며 요구해 온 것 ‘범진보 공동 경선’과 같은 방식이다. 오픈 프라이머리는 특정 정당의 후보를 뽑는 경선에서 당원 뿐만 아니라 온 국민에게 투표권 획득의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인데, 이를 변용해 범진보 정당 후보가 한꺼번에 경쟁하는 ‘공동 오픈 프라이머리’를 치르자는 게 조국혁신당과 민주당 군소 주자들의 주장이다.
김부겸 전 국무총리도 지난 6일 “손에 땀을 쥐는 경선이 국민의 관심과 감동을 끌어낼 수 있는데, 민주당 경선이 형식적인 절차에 그쳐서는 안 된다”며 공개적으로 동의했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 김동연 경기지사 등도 긍정적이다. 비이재명계 후보들 사이에서는 “민주당이 머리끝부터 발끝까지 (이 대표 지지로) 일체화돼 있는데, 민주당원과 강성 지지층 중심의 판에서 경쟁하는 건 무의미하다”는 인식이 팽배해 있다.
민주당은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7일 SBS 라디오에서 “130만 명 넘는 (민주당) 권리당원이 있고, 일반 당원만 약 500만 명인데 당원들의 후보 선출권을 박탈하는 결정을 어떻게 할 수 있겠느냐”며 가능성을 일축했다. 박성준 원내수석부대표도 라디오에서 “내란 세력과 확실한 경쟁력을 통해 우위에 있는 선거 구도를 설정하는 것이 맞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국민경선제와 국민참여경선제 중 하나를 경선 룰로 저울질하고 있다. 두 가지 방식은 당원 권리를 우선적으로 보장한다. 국민경선제는 권리당원(1년 내 당비 6회 이상 납부) 전체에 투표권을 부여하고, 여기에 참여를 원하는 일반 국민 선거인단을 더해 투표권을 준다. 국민참여경선제 역시 권리당원들은 모두 투표권을 가진다. 다만 이들의 투표 결과는 50%만 반영되고, 나머지 50%를 ARS 여론조사 등을 통한 일반 국민 여론으로 채운다. 민주당 권리 당원들의 의사 반영이 확실히 보장되고, 바꿔 말하면 압도적 당원 장악력을 지닌 이재명 대표에게 크게 유리한 방식이다.
대선후보 공동 경선 주장은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직후 치러진 2017년 대선 때도 논쟁거리였다. 김부겸 당시 민주당 의원과 박원순 전 서울시장이 민주당ㆍ국민의당ㆍ정의당 등 3당의 공동 경선을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