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강진 현장서 ‘이메일 해고 통보’ 받은 USAID 직원들

7일(현지시간) 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에서 강진으로 무너진 건물 잔해를 치우고 있는 현지 인부들. AP=연합뉴스

7일(현지시간) 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에서 강진으로 무너진 건물 잔해를 치우고 있는 현지 인부들. AP=연합뉴스

미얀마 강진 피해 복구 지원을 위해 900만달러(약 134억원) 지원을 약속한 미국 정부가 미얀마 현장에 파견한 대외원조기구 국제개발처(USAID) 직원 3명에게 해고를 통보했다.

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USAID 직원 3명으로 구성된 지원 평가팀이 미얀마에 도착한 지 며칠 만인 지난 5일에 전원 해고됐다고 전·현직 USAID 관계자 3명을 인용해 보도했다.

워싱턴DC와 태국 방콕, 필리핀 마닐라에서 미얀마로 투입된 이들은 지진 피해 지역인 만달레이에서 해고 통보 이메일을 받았다고 한다.

워싱턴DC의 USAID 직원들은 이들의 해고 소식을 듣고 충격을 받았으며, 특히 강진 피해 현장에서 일하는 와중에 해고를 통보받은 데 대해 분노했다고 NYT는 전했다.

또 이제 그들이 미얀마에서 어떤 일을 할지 불확실하며, 이번 해고로 USAID 해체에도 일부 인도적·위기 지원을 지속하겠다는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의 약속에 의문이 제기된다고 NYT는 지적했다.


이에 대해 미 국무부는 미얀마에 파견된 이들이 야외에서 하룻밤을 보낸 후 건물에 머물고 있다면서 특정 직원의 고용 상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한편 지난 미국은 미얀마 강진 피해 지원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나오자 700만다러를 추가로 제공한다고 지난 4일 밝혔다.

태미 브루스 미 국무부 대변인은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대피소, 식량, 의료용품, 식수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세계 각국과 국제구호단체들이 앞다퉈 지원에 나선 가운데 미국은 앞서 200만 달러(약 29억원)의 원조를 제공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는 1억 위안(약 200억원) 규모 구호물자와 함께 가장 먼저 대규모 구조 인력을 파견한 중국과 대비됐다.

 

8일(현지시간) 미얀마 강진 생존자를 구조하기 위해 투입된 중국 구조대. 신화통신=연합뉴스

8일(현지시간) 미얀마 강진 생존자를 구조하기 위해 투입된 중국 구조대. 신화통신=연합뉴스

 
러시아와 인도 등도 구조대를 미얀마로 보내는 등 적극적인 ‘재난 외교’에 나서고 있다.

앞서 트럼프 미 대통령은 미얀마 강진 발생 직후인  “지진은 끔찍한 일”이라면서 “우리는 도울 것이며 이미 그 나라와 이야기를 나눴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USAID 해체로 강진 대응을 준비하던 인력이 대부분 해고되는 등 원조를 현지에 전달할 시스템이 무너진 가운데 실제 지원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이런 가운데 미국이 피해 현장에 파견한 유일한 인력인 평가팀 직원들마저 해고되면서 미국의 미얀마 강진 지원이 사실상 중단되거나 최소한 상당한 차질을 겪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취임과 동시에 미국의 해외원조를 90일간 중단하는 행정명령을 발동했다. 미국의 대외 원조 기관인 USAID는 해체 수순을 밟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