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미 환경보호국(EPA)에 새로 임명된 직원들이 기존 직원들에게 "정부효율부가 AI로 공무원들을 감시하고 있다"고 경고했다고 보도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로이터=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소식통들은 "정부효율부가 AI로 감시하는 건 MS 팀즈를 포함한 채팅 앱과 소프트웨어"라고 주장했다. 공무원들이 사용하는 메신저 대화 내용 등을 AI를 활용해 들여다보고 있다는 의미다.
소식통들은 이러한 감시의 목적은 트럼프 대통령이나 머스크를 흉보는 직원을 찾기 위한 것이며, 이렇게 수집한 대화 내용을 해고 대상자 선별에도 활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런 이유로 EPA의 한 관리는 직원들에게 "말과 글, 행동에 조심하라"고 당부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환경보호국은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환경 규제와 친환경 보조금 집행에 집중해왔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하면서 정부효율부가 주도한 대규모 구조조정의 대상이 됐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후 환경보호국은 직원 600여 명을 내보냈고, 예산의 65%를 삭감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의혹과 관련 로이터는 "머스크나 트럼프 행정부가 AI로 수집한 정보를 사적 이익이나 정치적 목적을 위해 사용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운다"고 지적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로이터=연합뉴스
환경보호국은 성명을 통해 "기관의 기능과 행정 효율성을 최적화하기 위해 AI 사용을 검토하고 있다"면서도 "정부효율부와 인사 관련 결정을 내리는 과정에서 AI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다만, AI를 사용해 직원들을 감시했는지에 대해선 직접 언급하지 않았다.
이런 가운데 정부효율부가 업무 소통에 민간 채팅 앱인 시그널을 사용하고 있다는 의혹도 불거졌다. 앞서 마이크 월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 등 트럼프 행정부의 고위 안보 라인도 시그널 채팅방에서 군사 기밀을 논의해 기강 해이 논란이 일었다.
로이터는 소식통을 인용해 시그널은 특정 시간이 지나면 대화 내용이 사라지는 만큼 정부효율부의 이런 행위는 미 연방정부의 기록 보존 원칙도 어긴 것일 수 있다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