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다양한 현안에 대한 시민의 생각을 담은 ‘2024 서울서베이’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서울서베이는 서울시민의 인식과 삶의 질, 가치관 변화 등 전반적인 사회상을 파악하기 위해 2003년부터 매년 조사ㆍ발표한다. 조사는 ▶2만가구(가구원 3만6280명) ▶시민(5000명) ▶서울거주 외국인(2500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이번엔 특히 초고령사회 등과 관련해 ‘서울시민이 생각하는 노인 연령 기준’ 등 새로운 문항이 추가됐다.

김경진 기자
조사 결과 시민들이 생각하는 노인의 연령 기준은 평균 70.2세로 나타났다. 현행 노인복지법에 규정된 노인 연령은 ‘만 65세’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 응답자들은 72.3세부터 ‘노인’이라고 답했다. 고령화에 따른 정년 연장 여부에는 87.8%가 동의했다. 실제 적정 은퇴 시기에 대해서는 ‘65∼69세(40.5%)’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은퇴 후 적정 월 생활비에 대해선 ‘250만원 이상(53.3%)’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노후에도 경제활동이 필요하단 응답이 많았다. 한 예로 65세 이상 시민의 노후 희망 활동으로는 손자녀 양육(33.5%)보다는 취미ㆍ교양 활동(78.8%)이나, 소득창출(70.3%)이 꼽혔다.
다섯집당 한집이 반려동물…반려동물 10마리 중 8마리는 개
반려동물 보유가구 중 77.8%는 개를, 19.2%는 고양이를 키웠다. 개와 고양이를 함께 키우는 가구도 2.6%였다.
서울 가구의 72% “나는 중간쯤 산다”

김경진 기자

김경진 기자
한편 서울시가 거주 외국인 25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서울에 살면서 느끼는 삶의 질 만족도는 6.97점으로 전년(6.72점) 대비 0.25점 높아졌다. 서울의 랜드마크로는 2명 중 1명(48.4%)이 ‘광화문(광장)’을 꼽았다. 고궁(36.8%), 한강(23.8%), 동대문(DDP)(23.5%), 시청 앞 광장(20.6%)이 뒤를 이었다. 조사 결과 보고서는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