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물 산불'이 남긴 화상 이렇게 컸다…NASA에 찍힌 상흔

지난 4일 미 항공우주국(NASA)의 고해상도 지구관측 위성 랜드셋9이 촬영한 경북 지역의 모습. NASA는 빛의 대역폭 설정을 통해 불에 탄 산림과 그렇지 않은 곳을 선명하게 구분했다. 사진 NASA 어스 옵서버토리.

지난 4일 미 항공우주국(NASA)의 고해상도 지구관측 위성 랜드셋9이 촬영한 경북 지역의 모습. NASA는 빛의 대역폭 설정을 통해 불에 탄 산림과 그렇지 않은 곳을 선명하게 구분했다. 사진 NASA 어스 옵서버토리.

지난 3월에 발생한 경북 지역의 산불 규모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위성 사진이 8일 공개됐다. 발화지인 경북 의성부터 동해안까지, 한반도 동남부가 칼에 베인 듯 동서로 긴 상흔이 남은 모습이다. 

해당 사진은 NASA의 고해상도 지구관측 위성 랜드셋9이 지난 4일 촬영했다. NASA는 가시광선과 단파 적외선 등 여러 빛의 대역을 활용해 불에 탄 곳(적색)과 타지 않은 곳(녹색)을 구분했다고 설명했다. 그 결과, 산불영향구역 안의 산림 대부분이 불에 탄 것으로 드러났다. 

미 항공우주국(NASA)가 한국 산불 발생 상황을 보여주는 지난 22일 위성 사진을 27일 공개했다. 사진 NASA 어스 옵서버토리.

미 항공우주국(NASA)가 한국 산불 발생 상황을 보여주는 지난 22일 위성 사진을 27일 공개했다. 사진 NASA 어스 옵서버토리.

 
앞서 NASA는 의성 산불이 발생한 다음 날인 22일, 안동 근처에서 큰 연기 기둥을 관측했다며 위성 사진을 공개했다. 또한 '화재 및 열 이상 현상'이 나타난 지점을 토대로 25일에 산불이 동해안까지 확산한 것을 감지했다고 한다. 

NASA는 "약한 비와 함께 산불이 진화되고, 연기가 걷힌 뒤에야 동서로 80㎞에 달하는 산불 피해 지역에 한눈에 드러났다"고 밝혔다.

"산불로 인한 온실가스, 차 3400만대 서울-부산 왕복 수준"

미 항공우주국(NASA) 위성에 감지된 화재 및 열 이상 현상 발생 지점. 사진 NASA 어스 옵서버토리

미 항공우주국(NASA) 위성에 감지된 화재 및 열 이상 현상 발생 지점. 사진 NASA 어스 옵서버토리

이번 산불 규모는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치로도 짐작할 수 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달 21~30일 사이 경북·경남·울산에 발생한 영남 산불로 인해 366만톤(t)의 온실가스가 배출됐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8일 발표했다. 


산불영향구역(4만8239㏊)을 토대로 나무의 잎과 가지가 불에 탈 때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산정해보니 이산화탄소 324.5만t, 메탄 27.2만t, 아산화질소 14.3만t 등이 배출됐을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한 해 동안 국내 산림의 온실가스 순흡수량(3987만t)의 약 9.2%로, 중형차 3436만 대가 서울과 부산을 왕복한 수준이다.

산림청은 진행 중인 산불 피해지 조사를 마친 뒤, 오는 14일 구체적인 피해 면적과 산림의 양을 발표할 계획이다. 통상 실제 피해 면적은 산불 발생 당시 발표하는 산불영향구역보다 작지만, 조사 결과에 따라 피해 면적이 예상보다 큰 경우도 종종 있다. 국립산림과학원 관계자는 "실제 피해 산림 양과 면적이 (예상보다) 늘어나면, 온실가스 배출량도 늘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