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17일 경기 양주의 육군 모 부대 항공대대에서 착륙을 시도하던 무인기 '헤론'이 국산 공격형 헬기 수리온과 충돌해 두 기체 모두 전소했다. 연합뉴스
9일 군 당국에 따르면 육군 중앙사고조사위원회는 이번 사고와 관련한 비행정보 녹화영상과 비행장 내 폐쇄회로(CC)TV 영상, 비행 데이터 등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결론에 도달했다. 육군 관계자는 “사고 당시 무인기는 비상 자동착륙을 하는 과정에서 1차 돌풍에 의한 비행체 급상승을 했다”며 “이후 활주로 착륙 직전 2차 돌풍과 측면풍 등 외부 요인에 의해 (사고가)발생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달 17일 오후 1시 5분쯤 경기 양주시 광적면 석우리의 모 육군 부대 소속 항공 대대 활주로에서 착륙을 시도하던 헤론 1대가 우측으로 급변침, 비행장에 계류 중인 수리온 기동헬기(KUH-1)와 충돌해 화재가 발생했다. 불은 20여 분 만에 꺼졌으나, 탑재된 항공 연료로 인해 무인기와 헬기 모두 전소했다.
육군은 사고 당일부터 육군 정보차장을 위원장으로 국방과학연구소 및 기술품질연구원 전문위원 등을 포함한 20여 명의 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해 조사를 진행해 왔다.
조사 결과 인적 과실이나 장비 결함, 장비 정비 체계, 군 기강 해이 등의 문제점은 식별되지 않았다는 게 육군의 설명이다. 조사위는 관련 내용을 9일 오후 오후 김선호 국방부 장관 직무 대행에게도 보고했다.
육군은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해 해당 항공대대 등에 ‘지상 급변풍 경고 시스템’을 조기 설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군 비행장 내 무인기의 헬기 계류장 진입 방지를 위한 그물망 설치 등 후속 조치를 하겠다고 덧붙였다.
사고 무인기는 이스라엘에서 도입한 중고도 무인 정찰기 헤론으로, 길이 8.5m, 폭 16.6m, 최대 시속 207㎞에 이른다. 고도 10㎞ 상공에서 지상 표적을 정찰한다. 대당 가격은 30억원 가량이다. 군 당국은 2016년 헤론 3대와 지상통제체계(GCS)를 약 400억원에 도입했다.
군이 보유한 3대의 헤론 가운데 1대는 지난해 11월 북한의 위성항법장치(GPS) 전파 교란으로 양주시 인근에 추락했고, 나머지 1대는 핵심 부품 정비 문제로 운용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이후 넉 달 만에 남은 1대마저 전소하면서 서북도서와 수도권 지역의 정찰 능력에 일부 차질이 불가피해졌다. 전소된 국산 헬기 수리온도 대당 가격이 약 200억원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