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모습. AFP=연합뉴스
10일 조선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워싱턴DC 백악관에서 미국의 해상 지배권을 복원하기 위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우리는 조선업에 많은 돈을 쓸 것”이라며 “미국은 예전에 하루에 1척의 배를 만들었지만, 지금은 사실상 1년에 1척도 만들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통해 해양 산업 활성화를 위한 행동 계획 수립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미국 미시시피 잉걸스 조선소에서 선박이 건조되는 모습. 헌팅턴잉걸스가 운영하는 해당 조선소는 미국에서 가장 큰 수상함 건조 시설이다. 사진 헌팅턴잉걸스
국내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러브콜을 받는‘K조선’에 대한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8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첫 통화에서 조선업 협력을 강조하기도 했다. 지난해부터 시작한 미 해군 함정에 대한 유지·보수·정비(MRO) 사업과 신규 함정 건조 사업이 협력 대상으로 점쳐진다. 중국 선박에 대한 규제가 본격화하면 글로벌 선주들이 한국산 상선 발주를 늘릴 거라는 기대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행정명령에서 무역대표부(USTR)에 중국의 반경쟁 행위를 조사하라고 지시했다.

한화오션이 지난해 6월부터 지난달까지 유지·보수·정비(MRO)한 미 해군 7함대 소속 '윌리 쉬라호'가 정비를 마치고 경남 거제 한화오션 사업장을 출항하는 모습. 사진 한화오션
전문가들도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예비역 해군 준장 출신인 신승민 부산대 선박해양플랜트기술연구원 초빙교수는 “최소 2~3년 치 일감을 (미국이) 안정적으로 공급한다는 보장이 있어야 국내 조선사가 협력을 이어갈 수 있다”며 “방위비 분담금 협상에서 관련 주제를 함께 논의하는 등 정부간 협상으로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