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티에리 프리모(왼쪽) 칸 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이 10일 오전(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UGC몽마르스 극장에서 올해 공식 초청작들을 발표하고 있다. 파리=로이터 연합뉴스
올해로 78회를 맞는 칸 영화제 집행위원회는 10일 오전(현지시간) 공식 초청작을 발표했는데, 한국 영화는 경쟁 부문을 비롯해 비경쟁 부문, 미드나이트 스크리닝, 주목할 만한 시선, 칸 프리미어 등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다.
한국 장편영화가 칸 영화제에서 단 한 작품도 공식 초청작에 이름을 올리지 못한 것은 2013년 이후 12년 만이다. 2013년에는 문병곤 감독의 단편 '세이프'가 유일하게 단편경쟁 부문에 진출, 단편 황금종려상을 받았다.
올해는 연상호 감독의 ‘얼굴’, 김병우 감독의 ‘전지적 독자 시점’, 김미조 감독의 ‘경주기행’ 등이 출품됐지만, 어떤 작품도 낙점받지 못했다.
특히 최고상인 황금종려상을 놓고 경합을 벌이는 경쟁 부문에는 올해로 3년째 초청받지 못했다. 2022년 배우 송강호가 남우주연상을 받은 '브로커', 박찬욱 감독이 감독상을 수상한 '헤어질 결심' 이래 경쟁 부문에 진출하지 못했다. 올해 초만 해도 박찬욱 감독의 신작 ‘어쩔수가없다’의 경쟁 부문 진출 가능성이 거론됐지만, 영화는 현재 후반 작업 중이어서 출품하지 못했다.
다만 칸 영화제가 그간 공식 초청작 발표 후에도 추가로 초청작을 공개해온 만큼, 한국 영화의 칸 진출 가능성은 아직 남아있다. 한편 이날 발표된 경쟁 부문에는 리처드 링클레이터 감독의 ‘누벨 바그’, 웨스 앤더슨 감독의 ‘피니시언 스킴’, 켈리 레이카트 감독의 ‘마스터마인드’, 아리 에스터 감독의 ‘에딩턴’, 요아킴 트리에 감독의 ‘센티멘털 밸루’, 쥘리아 뒤쿠르노 감독의 ‘알파’, 다르덴 형제 감독의 ‘더 영 마더스 홈’ 등 24편이 초청됐다.
제78회 칸 영화제는 다음달 13일부터 24일까지 프랑스 칸 일대에서 개최된다. 프랑스 배우 줄리엣 비노쉬가 심사위원장을 맡고, 배우 로버트 드 니로가 명예 황금종려상을 수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