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당, 경선룰 원칙 파괴"…김경수는 "당 결정 따르는 게 도리"

김동연 경기지사. 연합뉴스

김동연 경기지사.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조기대선 후보 경선에서 권리당원 투표 50%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50%로 대선 후보를 뽑기로 한 것과 관련해 비명(비이재명)계 김동연 경기지사가 “민주당 원칙을 파괴했다”며 반발했다. 

김 경기지사는 14일 CBS라디오에 출연해 “(완전국민경선이) 우리 민주당의 원칙이자 전통이다. 이 규칙으로 노무현·문재인 전 대통령이 당선됐고, 이재명 전 대표도 지난 대선 경선에서 이 룰로 당선이 됐다”며 “이 같은 원칙과 전통이 지금 파괴되고 있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지사는 “절차적으로도 그 과정에서 후보자 간 협의가 전혀 없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특정 집단의 악의적 개입 가능성을 고려했다는 설명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라는 질문에는 “핑계에 불과하다. 계엄도, 탱크도 막은 것이 우리 국민의 시민의식인데, 이를 믿어야 하지 않나”라며 “국민의 자발적 참여를 보장하는 게 더 큰 선거를 이기는 지름길”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김 지사는 “오늘 경선 규정에 대한 (중앙위) 투표가 오후에 끝날 텐데, 그때까지는 지켜보겠다”며 “투표가 끝나면 저도 입장 표명을 하겠다”고 했다.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전민규 기자.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 전민규 기자.

 
다만 비명계 중 한명인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같은날 MBC라디오에 나와 “”경선 룰 토론은 일종의 샅바 싸움이다. 샅바 싸움을 길게 하는 것은 좋지 않으며 당이 결정하면 따르는 것이 당원의 도리”라며 “그 과정에서 가능하면 후보들과 충분히 협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역선택 우려들이 많이 있긴 하지만 그런 우려가 없는 당원들의 참여 폭은 확대하는 것이 좋지 않나”라며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당원만이 아니라, 최근 6개월간 한 번이라도 당비를 낸 당원은 참여하도록 하는 방안도 고려해달라고 요청했다”고 말했다.

 
앞서 민주당은 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 논의를 통해 이 같은 안을 마련, 14일 오후까지 중앙위원회 온라인 투표를 진행해 규칙을 확정할 예정이다.

 

비명계 주자들을 중심으로 당원과 일반 국민을 구별하지 않는 완전국민경선(오픈 프라이머리)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지만 이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