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모듈 1소화기"…전기차 배터리 불 조기 진화 시스템 개발한 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는 전기차 배터리셀에 불이 나면 소화 약제를 자동 분사해 진압하는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사진은 소화 기능 탑재 배터리시스템이다. 사진 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는 전기차 배터리셀에 불이 나면 소화 약제를 자동 분사해 진압하는 신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사진은 소화 기능 탑재 배터리시스템이다. 사진 현대모비스

현대모비스가 전기차 배터리 모듈마다 소화 장치를 탑재해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소비자들이 전기차 구매 결정을 망설이게 하는 ‘전기차 열폭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한 끝에 나온 결과다. 

14일 현대모비스는 전기차 배터리 화재 시 모듈에 탑재한 소화 장치에서 소화 약제를 자동으로 뿌려 불을 끄는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모듈마다 소화 기기가 있어 붙어있는 다른 모듈로 열 전이를 원천 차단해 화재 확산을 막는 개념이다. 아직 세계적으로 상용화되지 않은 기술이다.

전기차 배터리는 최소 단위인 셀과 이를 층층이 쌓은 중간 단위 모듈, 모듈을 모은 팩으로 구성된다. 이 회사가 개발한 배터리시스템(BSA·Battery System Assembly)은 배터리관리시스템(BMS)과 소화장치, 배터리케이스 등으로 구성된 하드웨어, 이를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로직으로 구성된다. 배터리 모듈마다 소화 약제를 분사할 수 있는 케이스를 장착하는 방식이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기존 배터리 모듈 방식을 활용하며 케이스를 바꾸는 개념으로 생산 효율성을 높였다”고 말했다.

BMS는 불이 났을 때 약제를 분사할 위치를 정하고 소화 장치 작동을 명령한다. 작동 명령은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이 판단하는데, 센서가 수집한 실시간 데이터를 기반으로 배터리의 온도와 전압, 배터리시스템 내부 압력이라는 세 변수를 종합적으로 분석해 화재 발생을 인지하고 판단하는 식이다.

현대모비스는 이 기술을 개발하며 배터리케이스와 소화장치 등 총 3종의 국내외 특허도 출원했다. 향후 기술 상용화로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서 차세대 안전 기술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계획이다.


박용준 현대모비스 배터리시스템연구실장(상무)은 “앞으로 글로벌 기준을 상회하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통합된 고도화된 배터리 시스템을 개발해 글로벌 시장에 선보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