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가 1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제1차 중앙위원회의에 참석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김성룡 기자
18~20대 대선 경선에서 사용했던 ‘국민경선(당원과 일반 국민 선거인단 모두 1인 1표)’ 방식과 달리 이번 경선에선 권리당원이 아니면 경선 투표권을 얻을 수 없도록 했는데, 권리당원들 사이에선 이재명 전 대표의 지지세가 지배적이다.
김 전 의원은 이날 경선 룰 확정 직후 페이스북에 “김대중·노무현 정신을 저버린 민주당 경선에 참여할 면목이 없다”며 경선 불참을 선언했다. 김 전 의원은 “당 선관위는 후보 측과 어떤 설명이나 논의도 없이 ‘오픈프라이머리(100% 국민선거인단 경선제) 불가’를 발표했다”며 “후보들과 협의 없는 경선 룰은 특정 후보를 추대하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선 룰 변경의 명분이 된 특정 세력의 조직적 역선택 우려에 대해선 “신천지가 두렵고 전광훈이 무서운데 무슨 선거를 치르겠습니까”라며 “그런 역선택이 민주당 경선에서 언제 있었느냐”고 반문했다. 이같은 반발을 김 전 의원 측이 “불출마가 아닌 민주당 경선 거부”라고 설명하면서, 정치권에는 “김 전 의원이 무소속으로 출마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동연 경기지사는 “민주당의 원칙인 국민경선이 무너진 점을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유감을 표했으나, 당 경선에는 참여하기로 했다. 김 지사는 “역선택 우려와 당원 중심 정당의 중요성 등 국민참여경선을 지지하는 주요 논리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면서도 “다만 당원 동지분들이 결정한 일이기 때문에 모든 걸 뒤로 하고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 역시 이날 오전 MBC 라디오에 출연해 “샅바 싸움은 길게 하는 게 좋지 않다. 당이 결정하면 따르는 것이 당원의 도리”라며 일찌감치 경선 참가 뜻을 밝혔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14일 서울 강남구 퓨리오사AI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국회사진기자단
이에 대해 박명호 동국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자신의 권력을 위협하는 요인을 제거하기 위해 당헌·당규를 개정하는 권력 지향적 모습이 ‘이재명 포비아’의 출발점 중 하나”라며 “민주당 내 역동성과 다양성이 약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반면 친명계 중진 의원은 “지난 탄핵 정국을 거치면서 특정 종교를 중심으로 조직화된 세력이 민주당 경선에 개입할 수 있다는 건 현실적 우려가 됐다”며 “선거인단 모집 경선을 치르기엔 시간도 빠듯하다”고 말했다.
한편, 민주당은 전국 4개 권역(충청, 영남, 호남, 수도권, 강원·제주) 순회경선에서 얻은 후보별 권리당원 득표를 일반 국민 여론조사와 합산해 최종 후보를 결정할 예정이다. 19일에는 충청권, 20일 영남권, 26일 호남권, 27일 수도권과 강원·제주까지 순회 경선으로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