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투과레이더(GPR)로 49.3㎞ 탐사…서울시 복귀한 吳, 안전사고 예방대책 가동

서울 도심에서 잇단 땅꺼짐(싱크홀) 사고가 이어지고 있는 3일 서울 중구 청계광장 인근에서 서울시 재난안전실 도로관리과 직원들이 땅꺼짐 탐사대 차량에 실린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뉴스1]

서울 도심에서 잇단 땅꺼짐(싱크홀) 사고가 이어지고 있는 3일 서울 중구 청계광장 인근에서 서울시 재난안전실 도로관리과 직원들이 땅꺼짐 탐사대 차량에 실린 장비를 점검하고 있다. [뉴스1]

서울 관악구 삼성동 재개발 2구역에서 또다시 지반 침하가 발생한 가운데 서울시가 안전사고 예방대책을 가동하기로 했다.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선언한 오세훈 서울시장의 첫 공식 행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4일 서울시청 집무실에서 안전점검회의를 주재했다. 최근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지반침하 사고와 인파 밀집으로 인한 봄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대책 회의다. 

서울시 안전점검회의 개최

서울 강동구 길동의 한 도로에서 폭 20㎝, 깊이 50㎝ 규모 땅꺼짐 현상이 발생했다. [연합뉴스]

서울 강동구 길동의 한 도로에서 폭 20㎝, 깊이 50㎝ 규모 땅꺼짐 현상이 발생했다. [연합뉴스]

우선 서울시는 지표투과레이더(GPR·Ground Penetrating Radar)로 관내 5개 도시·광역철도 건설공사 구간(49.3㎞)을 집중적으로 탐사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서울도시철도 9호선 4단계 건설공사(1~3공구) 4.1㎞ ▶동북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 건설공사(1~4공구) 13.4㎞ ▶영동대로 지하 공간 복합개발공사 1.0㎞ 구간이 우선 탐사 대상이다.


이어 서울을 지나는 ▶신안산선 12.1㎞(석수역~여의도역) ▶수도권광역급행철도(GTX-A) 18.7㎞(수서역~서울역) 구간을 점검한다. 또 서울시 8개 자치구에서 선정한 우선점검지역 50개소 45㎞ 구간을 점검한다. 이 구간은 지난해 국토교통부 요청에 따라 각 자치구가 지반 침하 특별 점검을 요청한 지역이다. 나아가 지난해 제출하지 않았던 17개 자치구도 수요 조사를 거쳐 추가 조사를 할 계획이다.

GPR 탐사 결과는 ‘서울안전누리’와 공사장 현장 게시판 등에 즉각 공개한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전국 최초로 지반 변화를 실시간 계측할 수 있는 신기술인 ‘지반침하 관측망’도 시범 설치·운영하기로 했다. 또 건설 공사장 주변에 신기술을 적용한 계측 장비를 설치해 지반 변화를 실시간으로 계측할 예정이다.

철도 건설구간 집중 탐사

마포구 서교동 일대 도로 침하 현장에서 도로 복구 작업을 진행 중인 마포구청 관계자. [사진 마포구]

마포구 서교동 일대 도로 침하 현장에서 도로 복구 작업을 진행 중인 마포구청 관계자. [사진 마포구]

더불어 서울시는 지반 침하 사고 징후를 발견한 시민으로부터 신고를 받으면 이를 원스톱으로 접수·조치할 수 있는 ‘신속 현장 점검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서울시·자치구·경찰서 등 관계기관이 사전 협력체계를 구축해 사고 발생 시 절차·시간을 대폭 줄이는 것이 핵심이다. 서울시, 자치구, 도로사업소, 120다산콜 등 어느 채널로든 신고만 하면 협력 체계를 즉각 가동해 신속하게 복구·조치하는 방식이다. 

봄철지역축제 지도 감독도 강화 

서울 서대문구 성산대교 방면 성산로에서 발생했던 땅꺼짐 현상(싱크홀). [뉴스1]

서울 서대문구 성산대교 방면 성산로에서 발생했던 땅꺼짐 현상(싱크홀). [뉴스1]

서울시는 노후 상·하수관로에 대한 전수조사와 연차별 정비도 한다. 지반침하 발생 지역 주변에서 사고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하수관로 공사를 진행하고, 안전성이 높은 PVC 상수도관을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등 정비계획도 마련했다.  

인파가 집중하는 봄철 지역 축제 지도·감독도 강화한다. 지능형 폐쇄회로(CC)TV와 재난안전현장상황실(버스) 등을 활용해 인파가 운집한 현장을 신속하게 관리한다는 계획이다.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에서 서울시 땅꺼짐 탐사대가 탐색하고 있다. [뉴스1]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에서 서울시 땅꺼짐 탐사대가 탐색하고 있다. [뉴스1]

공공·민간 공사장도 점검한다. 대형 공사장에선 정기점검·특별점검을 하고, 중소형 공사장에선 해체·굴토 등 위험 작업 시 별도 안전점검을 진행한다. 주요 공공공사장 58개소에서도 지하구조물 안전점검, 공사장 주변 도로·건물 이상 여부 확인 등 특별점검에 나선다.

또 화재에 취약한 연립·다세대주택 밀집 지역, 쪽방·무허가 주택, 전통시장도 각각 맞춤형 안전 관리를 추진할 계획이다. 

오세훈 시장은 “시민의 일상이 흔들리지 않도록 어떤 상황에도 ‘안전’을 최우선으로 대응해달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