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장호의 사자성어와 만인보] 파옹구우(破甕救友)와 사마광(司馬光)

"정신일도(精神一到), 하사불성(何事不成)". 이 명언을 남긴 '주자학(朱子學)' 창시자 주희(朱熹)는 제자 조사연(趙師淵)과 함께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을 저술했다. 그가 '자치통감(資治通鑑)'을 매우 귀한 서적으로 여겼음을 짐작할 수 있다.

주희(朱熹). 바이두

주희(朱熹). 바이두

이번 사자성어는 파옹구우(破甕救友. 깨뜨릴 파, 독 옹, 건질 구, 벗 우)다. 앞 두 글자 '파옹'은 '항아리를 깨뜨리다'란 뜻이다. '구우'는 '친구를 구하다'란 뜻이다. 이 두 부분이 합쳐져 '항아리를 깨뜨리는 기지를 발휘해 친구를 구하다'라는 의미가 만들어졌다. 한 아동이 기발한 해결책을 순간적으로 떠올려, 친구의 목숨을 구한 일화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다.

북송(北宋)의 역사가 겸 정치가 사마광(司馬光. 1019~1086)은 지식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조부와 부친 모두 진사(進士)였다. 사마광도 19세에 진사에 합격하고 일찍 관료 생활을 시작했다. 그가 중년까지 관료로 활동하던 기간은 북송 제4대 인종(仁宗) 통치기였다. 인종 시대에 송나라는 번영을 누렸다.

사마광(司馬光). 바이두

사마광(司馬光). 바이두

사마광이 고위 관료로 활동하던 무렵 송나라에 큰 위기가 찾아왔다. 문치(文治)를 지나치게 중시하여 송나라 북쪽 국경은 늘 위태로웠다. 설상가상으로, 사회 기반인 소농(小農) 가계의 빈곤이 날로 심해지고 있었다.

인종 통치기에 범중엄(范仲淹)에 의해 시도됐다가 채 7년도 넘기지 못하고 기득권층의 반발로 좌초했던 개혁을 19세 나이에 즉위한 제6대 신종(神宗)과 왕안석(王安石)이 의욕적으로 추진하기 시작한다. 사마광은 신종의 절대적인 신임을 받던 왕안석과 정치적으로 대립하는 입장에 섰다. 왕안석이 추진하는 '신법(新法)'에 반대하던 기득권 세력이 사마광 주위로 모여들었다.


왕안석(王安石). 바이두

왕안석(王安石). 바이두

과도한 개혁은 큰 부작용을 낳는다는 소신을 포기하지 않는 사마광을 신종은 차츰 멀리했다. 뛰어난 역사가 자질을 평소 눈여겨보던 신종은 그에게 역사서 편집 책임을 맡겼다. 물론 한창 '신법' 개혁을 추진하던 왕안석 주도의 중앙 정부로부터 그를 떼어놓겠다는 의도가 우선이었다.

사마광은 묵묵히 훗날 '자치통감'으로 세상에 알려지게 되는 역사서 편집을 총지휘했다. 사실 사마광도 북송 사회의 총체적 개혁이 필요하다는 상황에는 공감하고 있었다. 그래서 초기에는 젊은 신종과 패기만만한 왕안석의 ‘신법’에 그도 적극 찬성하는 입장이었다. 하지만 지방 정부의 허위 보고 등 개혁의 부작용을 직접 목도한 후, '신법'에 적극 반대하는 입장으로 돌아선다.

정치가 사마광과 정치가 왕안석은 숙명의 라이벌처럼 불편한 관계였지만, 2살 차이인 둘의 인간적 유대는 매우 두터웠다. 사적으로 주고받은 편지엔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따뜻한 마음이 충만해 꽤 놀랍다. 신종, 왕안석, 사마광은 비슷한 시기에 생을 마감했다.

자치통감. 바이두

자치통감. 바이두

사마광이 편년체 역사서 편찬을 무려 20년에 걸쳐 완성한 후, 신종은 '자치통감'으로 책 제목을 정해준다. 마지막 글자 '감(鑑)'은 '자신이 펼치고 있는 정치 행위를 역사라는 거울에 비춰보라'는 의미다. 통치자들이 여가 시간에 이 책을 읽고 주요 의사결정에 참고하라는 취지가 담긴 제목이다. '자치통감'엔 기원전 403년부터 959년까지 총 16왕조 1,362년의 주요 역사가 연도별로 일목요연하게 서술되어 있다.

파옹구우. 이 일화의 주인공이 바로 어린 시절의 사마광이다. 하루는 가산(假山)에서 친구들과 놀던 사마광이 친구들의 다급한 고함 소리를 들었다. 위를 올려다보니 익사 사고 직전이었다. 가산 위에서 놀던 한 친구가 추락해 커다란 항아리에 빠진 상황이었다. 그 항아리에 물이 가득했다.

이 절체절명의 순간에 사마광은 잠시 생각하더니 침착하게 주변에서 돌멩이 하나를 찾았다. 그러고는 돌멩이로 항아리에 구멍을 내기 시작했다. 신속하고 과감했다. 그의 기지와 민첩한 대처 덕분에 친구는 목숨을 구할 수 있었다.

바야흐로 인공지능(AI) 시대다. '물이 찰랑거리는 커다란 항아리에 한 아이가 빠져 허우적댄다. 이 아이를 살릴 최선의 방법은 뭘까?' 이 질문에 인공지능이 과연 '파옹구우' 수준 이상의 참신한 대답을 바로 내놓을 수 있을지 자못 궁금하다.

더차이나칼럼

더차이나칼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