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죽지세' 금값 또 역대 최고…BoA "M7보다 금이 거래 많다”

위험자산 변동성 급증의 반대급부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폭발하며 금값이 4% 가까이 급등해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사진은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 뉴스1

위험자산 변동성 급증의 반대급부로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폭발하며 금값이 4% 가까이 급등해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사진은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 뉴스1

16일(현지시간) 국제 금값이 장중 온스당 3350달러(약 475만원) 선을 뚫고, 역대 최고가 기록을 새로 썼다. 관세 불확실성과 미ㆍ중 무역갈등에 따른 침체 우려에 글로벌 투자자가 피난처인 금으로 몰리고 있어서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날 금 현물 가격은 전날보다 3.61% 상승한 온스당 3338.43달러에 거래됐다. 거래 초반엔 온스당 3357.4달러까지 치솟아 최고치를 기록했다. 금 선물은 뉴욕상품거래소에서 하루 사이 3.27% 뛴 온스당 3346.4달러에 거래됐다. 올해 들어 26.7% 치솟은 금 선물도 역대 최고가다. 

미국 투자은행인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글로벌 펀드매니저 설문조사를 통해 “금 선물 거래량이 ‘매그니피센트 세븐(M7)’을 제치고 월가에서 가장 붐비는 거래에 등극했다”고 분석했다. M7은 애플을 비롯해 아마존, 알파벳 등 미국 7대 대형 기술주를 의미한다. 이어 BoA는 “펀드매니저 상당수가 무역 전쟁에 따른 경기 침체를 가장 큰 리스크로 꼽았다”며 “(이들은) 미국 주식 비중을 크게 줄이는 한편, 금이 올해 최고의 투자 자산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고 밝혔다.

미국 달러가 약세를 보인 것도 달러화로 표시되는 금값의 오름세를 부채질한다. 달러값이 하락하면 다른 통화로 금괴(골드바)를 구입하는 비용이 줄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유로화 등 주요 6개국 통화대비 달러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는 16일 99.38까지 하락했다. WSJ은 “연중 하락률은 8.5%로 (지수 역사상) 40년 만에 최악의 실적”이라고 평가했다.  

황병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불확실성에 따른 ‘투자자의 안전 피난처’인 동시에 인플레이션(물가) 헤지수단, 세계 중앙은행의 금 매수세까지 모든 상황이 금값에 유리하게 작용한다”며 “금값은 연내 온스당 36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