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현대일렉트릭 1분기 매출 첫 1조 돌파…잘나가는 ‘K전력망’

HD현대일렉트릭이 만든 초고압 변압기. HD현대제공

HD현대일렉트릭이 만든 초고압 변압기. HD현대제공

HD현대일렉트릭·LS일렉트릭 등 ‘K전력망’ 기업이 1분기 실적 발표에서 선방했다.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트럼프 정부 관세 정책과 ‘데이터센터 버블’ 우려에도 불구하고 진격을 이어가고 있다.

HD현대그룹의 전력기기 계열사인 HD현대일렉트릭은 22일 1분기 실적 발표에서 매출 1조147억 원, 영업이익 2182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1년 전보다 매출은 26.7%, 영업이익은 69.4% 각각 늘었다. HD현대의 분기 매출이 1조원을 넘긴 건 이번이 처음이다.

HD현대 관계자는 “수익성이 높은 초고압 변압기 등 선별 수주 전략을 추진해 북미 지역에서 매출을 끌어올린 결과”라며 “미국의 관세 부과 조치로 글로벌 통상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하고 있지만, 북미 시장의 노후 전력기기 교체 수요 및 인공지능(AI) 인프라 확대 기조에 따라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영옥 기자

김영옥 기자

 
HD현대는 미국 시장에서 뛰는 다른 한국 기업들보다 관세 영향을 덜 받는 편이다. 트럼프가 최근 부과했다가 일시 유예한 25% 수입 관세 중 앨라배마주 공장을 운영하는 HD현대가 실제로 부담하는 비율은 절반 이하로 분석된다. 예정대로 관세를 부과하더라도 영업이익률은 기존 대비 1.3%포인트 줄어들 전망이다. 정혜정 KB증권 연구원은 “최근 K전력망 기업의 가장 큰 리스크(위험)는 미국 관세와 데이터센터 투자 속도 조절 우려였지만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21일 1분기 실적을 발표한 LS일렉트릭은 매출 1조321억원, 영업이익 873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은 0.6%, 영업이익은 6.8% 줄었다. 1년 전보다 부진했지만, 회계상 국내 매출을 이월(移越)한 영향이다. ‘숨 고르기’ 성격이란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LS 관계자는 “2분기부터 미국 등 시장 실적이 확대하며 성장세를 탈 것”이라고 내다봤다.


K전력망 업체들은 최근 순항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가 미국·유럽에서 2기가와트(GW) 규모 신규 데이터센터 프로젝트를 중단하는 등 투자 축소 우려가 나왔지만 미국 데이터센터 시장 전망이 밝은데다 신재생 발전 설비 확대와 노후 전력기기 교체 수요가 커지고 있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장은 “조선·방산에 이어 전력기기가 트럼프 시대에 한국 제조업의 미래 먹거리 중 하나로 떠올랐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