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여성이 유방을 촬영해 암 검진을 하고 있다. 사진 국립암센터
신동욱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한경도 숭실대 통계학과 교수·정원영 펜실베이니아대 박사 연구팀은 이러한 분석 내용을 23일 공개했다. 유방암 환자 상당수는 '타목시펜' 같은 항호르몬 치료를 받고, 신체 활동량이 감소하면서 체중 증가를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이들 환자의 암 진단 전후 체중 변화에 따른 심혈관질환·심부전(심장 이상으로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 하는 질환) 발병 위험에 주목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2010~2016년 유방암 치료를 마친 환자 4만3000명을 체중 별로 ▶10% 이상 감소군 ▶5~10% 감소군▶5% 내 유지군 ▶5~10% 증가군 ▶10% 이상 증가군으로 나눈 뒤, 평균 4.7년간 추적 관찰했다.

연구에 참여한 신동욱 교수, 한경도 교수, 정원영 박사(왼쪽부터). 사진 삼성서울병원
이러한 비만이나 체중 증가 영향은 특히 50세 이하의 젊은 유방암 환자에게 크게 나타났다. 암 진단을 전후해 비만이었던 50세 미만 환자는 비만하지 않은 그룹보다 심혈관질환 위험이 3.58배 높게 나왔다.
정원영 박사는 "유방암은 40~50대에 발병해 항암·호르몬 치료 등으로 폐경기 변화를 겪으면서 체중이 느는 경우가 많다"면서 "이번 연구로 유방암 재발과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 체중 관리가 중요하다는 걸 규명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유방암 환자가 식사 조절과 중등도 이상의 운동을 통해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래도 체중 조절이 어려울 경우엔 최근 주목받는 비만약(GLP-1 유사체) 등의 약물치료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신동욱 교수는 "최근 미국 등에선 암 환자들의 심혈관 건강을 관리하기 위한 '심장종양학' 프로그램이 생기고 있다. 한국도 암 치료와 함께 심혈관 건강에 대한 전반적인 케어를 제공할 프로그램이 마련돼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유방암 연구와 치료'·'미국의사협회종양지' 최근호에 각각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