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소득 4만달러 멀어지고 대만에 추월당할 것"…IMF의 경고

2027년으로 예상됐던 우리나라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 4만 달러 달성 시기가 2029년으로 미뤄질 것이라는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이 나왔다. 1%대로 떨어진 성장률과 낮아진 원화가치 영향이다. 당장 내년부터는 대만이 한국을 추월할 전망이다.

정근영 디자이너

정근영 디자이너

28일 국제통화기금(IMF)의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의 1인당 GDP는 3만4642달러로 추정됐다. 이는 지난해보다 4.1% 감소한 것으로 3년 전인 2022년(3만4822달러)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후퇴했다.

IMF는 우리나라가 1인당 GDP 4만 달러를 돌파하는 시점도 2027년에서 2029년(4만340 달러)으로 늦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해 10월 22일 발표됐던 보고서에서는 한국의 1인당 GDP가 2027년에 4만1031 달러를 기록하면서 4만 달러를 돌파할 것으로 전망됐었다. 6개월 만에 2년 늦춰진 것이다. 한국은 2014년 처음 3만 달러를 넘은 후 11년 째 4만 달러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IMF 전망에 따르면 내년부터 한국의 1인당 GDP는 대만에도 뒤처진다. IMF는 대만의 1인당 GDP를 2026년 3만6318 달러로 전망하며, 2026년 한국의 1인당 GDP(3만5880 달러) 보다 높을 것으로 예상했다.

한국이 1인당 GDP 4만 달러 달성도 늦어지고 대만에도 역전당하는 이유는 '저성장·고환율' 때문이다. IMF는 한국의 올해 성장률은 2.0%에서 1.0%로 하향 조정했는데, 주요국 가운데 가장 크게 낮췄다. 같은 기간 대만은 2.9%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IMF는 2026년에도 한국은 1.4% 성장하는 데 그치는 반면, 대만은 2.5%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여기에 더해 1인당 GDP는 달러를 기준으로 계산되는데, 원화는 주요국 통화 중 가장 큰 약세를 보여 4만 달러에서 멀어졌다.


한편, 일본은 지난 2022년 1인당 GDP가 한국에 따라잡혔으며, 2030년까지 이러한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IMF는 예상했다. 일본의 1인당 GDP는 올해 3만3956 달러, 내년 3만5653 달러로 예측됐다. 일본은 1992년 3만 달러를 돌파한 후 3년 만인 1995년 4만 달러를 넘어섰지만, 2022년 다시 3만 달러대로 내려앉았다.

정규철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장은 "1인당 GDP 4만 달러 달성이 늦어지는 건 근본적으로 성장률이 낮아지고 있는 탓으로 보인다"며 "잠재성장률도 낮아지고 있어 구조적 저성장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