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오후 2시 1분쯤 대구 북구 노곡동 함지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야간에도 확산하고 있다. 연합뉴스
28일 오후 7시 대구 북구 팔달초등학교 강당에서 만난 이춘희(77·노곡동)씨는 이렇게 말하며 한숨을 쉬었다. 산불이 났다는 소식을 듣자마자 이장이 문을 두들기며 대피하라고 했고, 급히 오느라 옷 두 벌만 챙겼다고 했다. 이씨는 “대구에서 이렇게 큰 산불이 발생할 줄은 상상도 못 했다”고 말했다.
이날 오후 2시1분쯤 노곡동 함지산에서 발생한 산불은 평균 초속 3m, 순간 최대 풍속 초속 11m에 달하는 강풍을 타고 빠르게 퍼졌다. 대피소가 된 학교 강당에서 만난 주민들은 당황한 기색이 역력했다. 김경자(83)씨는 “순식간에 집 앞까지 불씨가 왔다. 이게 무슨 날벼락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28일 오후 대구 북구 함지산에서 발생한 산불로 마련된 팔달초 강당에 주민들이 대피했다. 연합뉴스
산림 당국은 이날 오후 3시10분 대응 1단계에 이어 30분 뒤 대응 2단계, 오후 6시 대응 3단계로 상향해 진화 작업을 벌였다. 강풍과 연무로 진화에 어려움을 겪자, 소방청이 오후 4시5분쯤 국가 소방동원령을 발령했다. 국가 소방동원령 발령으로 동원된 소방차량은 경북소방 20대와 중앙119구조본부 8대 등 모두 28대다. 오후 10시 현재 사망이나 부상 등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대구경찰청도 주변 교통 관리·통제, 주민 대피를 위해 산불 현장에 교통 순찰차 등 9대, 기동대 5개 중대, 기동순찰대 8개 팀 등 500여 명을 배치했다. 도로 곳곳도 통제됐다. 검은 연기로 경부고속도로 북대구IC 양방향 진입·진출이 차단됐다.

28일 오후 2시 1분쯤 대구 북구 노곡동 함지산에서 시작된 산불이 일몰 시각이 지나도록 꺼지지 않는 가운데 양방향 진출입이 차단된 경부고속도로 북대구나들목(IC)에 연기가 자욱하게 깔려 있다. 뉴스1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이날 브리핑에서 “야간 진화작업이 가능한 수리온 헬기 2대를 현장에 투입해 주택을 방어할 계획”이라며 “야간 산불 확산에 대비해 서변동 2164세대 3414명에 대해서도 선제적인 대피를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리온 헬기는 과거 경북 울진·안동 산불에도 투입된 적은 있지만, 2대를 동시에 야간에 투입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산림 당국은 일출과 동시에 이동식 저수조를 이용해 산불지연제를 뿌리고 산림청 18대, 임차헬기 10대, 소방 6대, 군부대 4대 등 헬기 38대를 투입해 조기 진화에 나설 계획이다.

28일 오후 2시 1분쯤 대구 북구 노곡동 함지산에서 발생한 산불이 인근인 조야동 민가까지 확산하고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