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실세' 트럼프 주니어 방한…30일 재계 총수 '릴레이 면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 트럼프 주니어.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장남인 트럼프 주니어가 29~30일 일정으로 한국을 방문한다. 30일 하루 동안 국내 재계 총수를 ‘릴레이 면담’할 예정이다.

29일 재계에 따르면 트럼프 주니어는 이날 오후 전용기편으로 한국에 들어온다. 올해 1월 트럼프가 대통령에 취임한 뒤 첫 방한 일정이다. 방한은 국내 재계 인사 중 친분이 있는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의 초청으로 성사됐다. 트럼프 행정부와 소통할 수 있도록 ‘가교’ 역할을 해달라는 재계 요청에 따라서다.

트럼프 주니어는 30일 하루 서울 모처에서 주요 대기업 총수와 릴레이 면담을 갖는다. 1대1 ‘티 타임(차담)’ 형식으로 총수마다 1시간 안팎 만날 예정이다. 트럼프 주니어가 주로 재계 총수의 얘기를 경청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재계에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을 맡은 최태원 SK 회장, 구광모 LG 회장 등 10대 그룹 총수 상당수가 트럼프 주니어와 만날 것으로 전망한다. 김동관 한화 부회장, 허태수 GS 회장 등도 면담자로 거론된다. 다만 각 그룹은 “현재로썬 확정된 게 없다”며 말을 아꼈다.

정의선 현대차 회장, 신동빈 롯데 회장, 장인화 포스코 회장은 해외 체류 일정으로 면담이 어렵다. 10대 그룹 외에도 미국 사업 비중이 큰 이재현 CJ 회장, 박정원 두산 회장, 구자은 LS 회장, 조원태 한진 회장 등도 면담 가능성이 언급된다. 이해진 네이버 의장도 거론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2일 한국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했다가 90일간 유예했다. 삼성전자·현대차·SK 등 미국에 진출한 국내 주요 대기업은 백악관과 연결 고리를 찾는 데 주력해왔다. 트럼프 주니어의 방한이 주목받는 이유다. 트럼프 주니어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막후 실세로 알려졌다. JD 밴스 상원의원을 부통령으로 추천한 것도 트럼프 주니어다.

2022년 11월 방한한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를 만나기 위해 재계 총수가 집결한 것과 비슷한 풍경이 재현될 수 있다. 재계 관계자는 “방한이라고 하지만 거의 ‘점 찍고 가는’ 식의 바쁜 일정이라 (만나더라도) 서로 얼굴만 익히는 수준이 될 것”이라며 “사업을 위해서라면 대기업 총수조차 일정을 비워두고 트럼프 주니어와 면담하기 위해 줄 서야 할 만큼 상황이 어렵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