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도 대출도 서울로 몰려

김주원 기자
연체율은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상승하고 있다. 2022년 1월까지만 해도 전국 광역자치단체 중 연체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0.34%)이었다. 그러나 올 1월 기준 지역별 연체율을 보면 제주(1.14%), 전북(0.86%), 대구(0.71%), 광주(0.67%), 부산(0.63%) 등이 서울(0.62%)을 뛰어넘었다. 지난 3년간 제주(0.93%포인트), 전북(0.56%포인트), 대구(0.51%포인트) 등 연체율이 서울(0.28%포인트)보다 더 큰 폭으로 뛰었기 때문이다.
서울 영업 은행만 돈 벌어

김주원 기자
저축은행도 상황도 마찬가지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 소재 23개 저축은행의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2744억원 늘면서 645억8000만원을 기록했다. 그런데 부산‧경남(-1617억원), 경기‧인천(-1502억원), 충청(-1179억원), 대구‧경북‧강원(-529억4000만원), 호남(-57억원) 지역 저축은행은 나란히 적자를 봤다. 저축은행은 영업 구역이 지역별로 나뉘어 있는데 서울이 아니고선 돈을 아예 벌지 못 했단 뜻이다.
비수도권 경기 침체로 은행 업황 악화
비수도권은 수도권과 비교해 소상공인 비중도 높다. 올 3월 기준 전남·경북의 전체 취업자 중 자영업자 비율은 각각 29.5%, 28.3%로 서울(15.7%)의 2배에 육박한다. 내수 부진 장기화가 자영업자가 많은 지방 경기 냉각을 이끌었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에 지방은행은 최근 지역에 있는 공공기관의 거래은행 거래 비중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의무화하는 방안을 도입해달라고 금융당국에 건의했다. 지방은행의 연체율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일시적으로 충당금 규제를 완화해달라는 의견도 전달했다. 저축은행 업계에선 영업 구역 제한 완화를 요구하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지방에 원활한 자금 공급이 필요하다는 취지에 공감하고 있다”며 “지방은행과 저축은행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는 만큼 업계 건의사항을 중심으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