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중고거래 앱에 게재된 카네이션 생화 판매 글. 캡처
중고거래 플랫폼에는 어린이날 선물로 ‘새 상품 같은 중고’ 장난감을 팔고 사는 거래가 활발하다. 대개 로봇이나 블록, 인형 등이다. 어버이날 선물로 받은 꽃이나 선물을 되팔거나 싸게 사려는 거래도 눈에 띈다. 이달 들어 카네이션 관련 거래 제안이 부쩍 늘었다. 조화부터 카네이션 모양의 브로치, 펜, 용돈 박스에 이어 생화까지 등장했다. 한 중고거래 앱 관계자는 “어버이날 전에 주말을 낀 긴 연휴가 있어 생화도 시들기 전에 거래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긴 것”이라며 “장·노년층도 중고 거래에 익숙해지면서 자녀에게 받은 꽃이나 선물을 되파는 이들이 늘었다”라고 말했다.

한 중고거래 앱에 게재된 카네이션 생화 판매 글. 캡처
꽃 인기가 시들해지면서 화훼 농가 등 꽃시장은 대목에도 풀이 죽었다. 서울 양재꽃시장에서 꽃 장사를 하는 김모(50)씨는 “꽃값이 비싸다며 발길을 돌리는 손님이 많아서 국산보다 40% 정도 저렴한 중국산 카네이션으로 꽃다발·꽃바구니를 만들어 가격을 낮췄는데도 기대만 못 하다"고 말했다.
반면 금값 고공행진에 금으로 만든 현금성 선물은 인기다. GS25가 지난달 28일 선보인 순금 카네이션 배지(1g), 카네이션 골드바(3.75g) 등 순금 상품 10종은 최근 일주일 매출이 1억원에 달했다. 카네이션 골드바 가격은 75만8000원으로, 신용카드 등으로 결제할 수 있다. GS리테일 관계자는 "아예 가성비를 따지거나 현금 혹은 현금을 대신할 선물을 선호하는 최근 트렌드에 맞춰서 기획한 상품"이라고 말했다.

GS25에서 판매하고 있는 순금 카네이션과 골드바. 사진 GS리테일
당장 5월에는 예약이 쉽지 않았던 호텔 뷔페 인기도 시들하다. 서울에 한 5성급 호텔 뷔페는 5일 현재 어버이날 당일 저녁 예약(성인 4인 기준)은 물론이고 5월 주말 저녁 예약을 할 수 있다. 서울의 또 다른 5성급 호텔 뷔페도 5월 주말 저녁 예약이 가능하다. 중고거래 앱에는 1인당 19만8000원인 이들 호텔 뷔페 식사권을 16만원에 팔겠다는 글도 올라오고 있다.
반면 1인당 5만8000원(성인 기준)에 고기·야채를 무제한으로 먹을 수 있는 샤브샤브가게(잠실점)는 연휴 내내 예약이 다 찬 데다 어버이날은 물론 주말(10~11일)까지 점심, 저녁 예약이 마감됐다. 정연승 단국대 경영학부 교수는 “불경기에 소비가 위축된 데다 국내·외 경제 상황이 불안정하자 필수재인 먹거리 소비까지 줄이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