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원전 뒤숭숭한데…한전·한수원, 해외 법정서 공사비 싸움

기자
김원 기자 사진 김원 기자
UAE 바라카원전 4호기 모습. 뉴스1

UAE 바라카원전 4호기 모습. 뉴스1

한국수력원자력이 7일 오후 런던국제중재법원(LCIA)에 모기업인 한국전력을 상대로 한 중재 신청을 했다.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자력발전소 건설 과정에서 발생한 추가 공사 대금을 청구하는 내용이다. 이날 한전의 공시에 따르면 한수원이 청구한 금액은 1조5692억6000만원(약 11억 달러)이다. 중재에 걸리는 기간은 통상 21개월 정도다.

추가 공사비 부담 문제를 두고 지난해부터 이어져 온 한전과 한수원의 갈등이 끝내 국제 분쟁으로 비화했다. 당초 이날로 예정됐던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최종 계약이 프랑스전력공사(EDF)가 제기한 소송으로 연기되며 원전업계가 뒤숭숭한 와중에,  ‘팀 코리아’로 묶인 모회사(한전)와 자회사(한수원) 간의 내부 분열까지 불거졌다. 

 
UAE 바라카 원전은 2009년 한국이 처음 해외에서 수주한 원전 사업이다. 한전이 주도한 컨소시엄이 약 20조원 규모의 사업을 따냈고, 한수원은 시운전에 해당하는 운영지원용역(OSS)을 맡았다. 지난해 4기 모두 상업 운전에 돌입했다. 하지만 계약 초기 예상했던 것보다 건설 기간이 길었고, 원자재·인건비 등 관련 비용도 더 많이 들면서 갈등이 생겨났다. 

한수원은 한전으로부터 추가 비용 정산을 제대로 받지 못했다고 주장한다. 한전은 UAE 측과 협의를 통해 추가 비용을 정산받는 것이 먼저란 입장이다. 양사는 지난 6일까지 분쟁중지협약을 맺고, 양사 사장 등이 나서 협상을 시도했다. 최근에는 주무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도 나서 국내에서 중재 절차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지만, 양측은 결국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한전과 한수원은 이미 각각 국제 분쟁에 대비해 로펌을 선임해 둔 상태다. 한전은 로펌을 선임하는 과정에서 예상 자문료를 약 1400만 달러로 제시했다. 향후 법적 분쟁 해결 과정에서 양사가 각각 수백억 원대 법무 비용을 쓸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한수원은 이와 관련한 별도의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기로 했다. 한전은 “협상으로 타결되지 못해 안타깝게 생각하며, 향후 중재가 진행되는 상황이더라도 협상의 길을 열어 놓고 분쟁을 해결해 갈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