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3일 오후 대구 중구 동성로에서 열린 집중 유세에서 연설을 하고 있다. 김성룡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3일 ‘보수의 심장’ 대구ㆍ경북(TK)을 찾아 ‘통합’을 강조했다.
이 후보는 이날 오전 11시쯤 경북 구미시 구미역 광장 집중 유세로 일정을 시작했다. 전날과 같은 파란 점퍼, 빨강과 파랑이 섞인 운동화 차림으로 등장한 이 후보는 “왜 이재명에 대해서는 우리가 남이가 소리를 안 해주나”라고 운을 뗐다. 사투리를 섞어가며 “‘재맹이가 남이가!’ 이렇게 좀 얘기해달라”고 했다. 이어 “경북 안동군 예안면 도촌리 지통마을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졸업 때까지 안동의 물과 풀과 쌀을 먹고 자랐는데 왜 (지난 대선) 이 동네에서 20% 지지를 못 받았을까”라며 자신이 TK 출신임을 강조했다.
구미가 고향인 박정희 전 대통령도 언급했다. “젊은 시절에는 독재하고 군인을 동원하고, 사법기관을 동원해서 사법 살인하고, 고문하고, 장기 집권하고, 민주주의를 말살하는 아주 나쁜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지금도 그건 사실”이라면서도 “이 나라 산업화를 이끌어낸 공도 있다. 유능하고 국가·국민에 충직한 일꾼을 뽑으면 세상이 개벽할 정도로 변할 수 있다”라고 했다. “진영이나 이념이 뭐가 중요한가. 박정희 정책이면 어떻고 김대중 정책이면 어떤가”라고도 말했다.
이 후보가 선거 초반 유세지로 ‘보수 텃밭’을 택한 배경에는 “보수 유권자들 사이 균열이 생긴 현 상황을 공략하려는 전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민주당 중앙선대위 관계자는 이날 통화에서 “12ㆍ3 계엄에 대해 영남에서도 ‘야 이거는 안 된다’란 여론이 높다”며 “이 분위기를 파고들어 선거 초반 영남에 공을 들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뽑던 당만 뽑지 말라’는 게 이날 이 후보 메시지의 핵심이었다. 구미에 이어 대구백화점 앞 중앙무대에서 마이크를 잡은 이 후보는 “제가 어릴 때 대구 생각하면 번듯한 도회지에다가 불빛은 휘황찬란하고 완전히 별천지였는데 요즘은 인구도 줄고 미래도 불확실하다고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몇천표 차로 국회의원 떨어지는 수도권에서는 현역 의원들이 죽을 둥 살 둥 노력한다. (대통령을) 신상도 좀 써보고 안 되면 또 바꾸고 그러면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후보는 “호남은 민주당의 본거지지만 민주당이 민주당 답지 못하면 싹 버림을 받기도 한다. (반면) 대구·경북·영남은 그렇지 않더라”라고도 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13일 오후 대구 중구 동성로에서 열린 집중 유세에서 지지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김성룡 기자
외교 등 정책에서 과거 “셰셰” 발언 논란을 정면 반박했다. 대구 유세 중 이 후보는 “제가 중국에도 ‘셰셰’ 하고 대만에도 ‘셰셰’ 하고 다른 나라하고 잘 지내면 되지, 대만하고 중국하고 싸우든지 말든지 우리하고 무슨 상관이냐 이렇게 말했다”라면서 “제가 일본 대사에게도 '셰셰'라고 말을 하려다가, 못 알아들을 것 같아서 '감사하므니다'라고 했다. 제가 잘못됐나”라고 했다.
이 후보는 22대 총선을 앞둔 지난해 3월 유세 중 “(중국ㆍ대만의) 양안문제에 우리가 왜 개입하나. 그냥 우리는 우리만 잘 살면 되는 것 아닌가”라며 “중국에도 셰셰, 대만에도 셰셰 이러면 된다”고 말해 논란을 일으켰었다.
최근 김문수 후보를 대선 후보로 확정하는 과정에서 극심한 내홍을 겪은 국민의힘도 공격했다. 이날 마지막 유세 지역인 울산에서 이 후보는 “민주당에 대해 (이재명) 일극 체제라느니 이상한 소리 하며비난하지만 당이 콩가루 집안처럼 싸우고 볶고 해서 되겠느냐”고 했다. 김 후보를 겨냥해서는 “내란에 대해 동조했다 안 했다, 왔다 갔다 하는 사람을 대통령으로 만들겠다고 한다”고 날을 세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