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측은 “시간당 강수량이 100㎜가 넘는 극한호우 횟수가 2020년 12회에서 지난해에는 16회로 늘고, 폭염일수도 2013년 16.6일에서 지난해 30.1일로 두 배 가까이 늘었다"라며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풍수해와 폭염 대응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오병권 행정안전부 자연재난실장이 지난 13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브리핑실에서 '2025년 여름철 자연재난(풍수해·폭염) 종합대책'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 행정안전부
정부는 먼저 침수ㆍ붕괴 등 취약 지역을 사전 발굴하고, 위험지역은 ‘인명피해 우려지역’으로 지정해 집중 관리한다. 우려지역은 지난해 7351곳에서 1613곳 늘어난 8964곳을 지정했다.
장마 기간 풍수해 위기경보를 ‘관심→주의’로 상향하고, 긴급재난문제를 통해 재난 정보를 실시간 제공한다. 또 동네 지리에 밝은 이ㆍ통장과 지역자율방재단을 중심으로 ‘마을순찰대’도 운영한다.
인명피해 우려가 큰 산사태와 하천재해, 지하침수 등 3대 풍수해 재난에도 적극 대응한다. 정부는 먼저 산사태ㆍ급경사지 등 예방사업에 6205억원을 투입한다. 하천재해를 막기 위해 다목적댐(20개소) 사전 방류로 홍수조절용량(68억㎥)을 확보하고, 홍수방어 인프라에 6794억원을 투입한다. 하천 주변에는 사람과 차량을 자동으로 인식하는 지능형 CCTV 1000여대를 시범 도입하기로 했다.
2023년 9명의 사망자를 낸 ‘오송 참사’ 이후 지하공간 침수사고에 따른 인명피해를 막고자 도입한 ‘4인 담당제’도 집중 시행한다. 4인 담당제는 도로관리청, 읍ㆍ면ㆍ동 공무원, 이ㆍ통장 등 자율방재단, 경찰이 한조가 돼 사전 지정된 지하차도의 예찰, 상황전파 등을 맡는 것이다.
영남권 산불 피해지역의 2차 피해를 막기 위한 특별대책도 추진한다. 정부와 각 지자체는 현재 44%가 진행된 산불 피해지역 내 위험수목 제거작업을 장마철 집중호우 전에 마무리할 계획이다. 또 산불 피해지역 내 주택 배후 사면의 토사유출 방지 조치 등을 우기 전에 완료하기로 했다.
무더위쉼터 6만6000곳 확대 운영
기존 5만9000여곳인 무더위 쉼터도 6만6000여곳으로 확대해 운영한다. 이한경 행안부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기후변화로 극한 호우와 폭염이 잦아지는 상황이지만, 정부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풍수해ㆍ폭염 대응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도 취약계층과 노숙인 등 밀착지원
![서울 중림동의 쪽방촌에서 한 주민이 선풍기로 여름을 나고 있다. [뉴스1]](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5/14/e72a923d-5a11-447c-87d2-8ad5f49082c1.jpg)
서울 중림동의 쪽방촌에서 한 주민이 선풍기로 여름을 나고 있다. [뉴스1]
폭염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위기 경보 단계별 대응체계’도 15일부터 가동한다. 폭염주의보시 1단계(주의), 폭염경보시 2단계(경계), 폭염특보시 3단계(심각)를 발령하는 방식이다. 주요 도로ㆍ도심지엔 물을 뿌려 온도를 낮추는 쿨링로드(13개소)를 운영하고, 보행로에 미세한 안개를 뿌리는 쿨링포그ㆍ미스트폴(21개소)도 설치를 늘린다.
풍수해에 대비해 ‘풍수해 재난안전대책본부’도 운영한다. 침수 예ㆍ경보제를 운영하고, 비가 많이 오면 침수 우려도로 3곳(강남역ㆍ대치역ㆍ이수역)을 사전 통제한다. 서울 관악구 신림동, 동작구 사당동, 영등포구 대림2동에 반지하 침수경보 신기술을 시범 도입해 저지대ㆍ반지하 지역을 집중관리한다. 또 침수우려지역에 맨홀 추락 방지시설 2만3325개를 추가로 설치하고, 우기 전 하수관로ㆍ빗물받이 하수시설물을 집중적으로 청소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