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한국은행의 ‘2024년 지급수단·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행태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지급수단으로 현금을 이용한 비중(건수 기준)은 15.9%로 집계됐다. 이는 한은이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355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다. 지급수단으로 신용카드(46.2%)를 사용한다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현금은 체크카드(16.4%)에 이어 세 번째로 이름을 올렸다. 모바일카드(12.9%)를 사용했다는 응답도 현금과 비슷한 수준까지 올라왔다.

지급수단으로 현금을 사용한다고 응답한 비중. 한국은행
현금을 쓰는 비중은 매년 가파르게 하락 중이다. 2013년 현금을 이용했다고 답한 비율은 41.3%에 달했지만, 2017년 36.1%로 떨어졌고 지난해엔 10%대 중반까지 하락했다. 약 7년 새 현금 사용 비율은 반토막이 났다. 다른 나라와 비교해도 낮다. 월드페이 설문 자료에 따르면, 한국의 현금 사용도(소비자가 오프라인 매장에서 결제할 때 현금을 사용하는 비중, 금액 기준)은 2023년 10%였다. 주요 40개국 중 29위로 전체 대상국 평균(23%)의 절반 수준이었다.
한은 조사에 따르면 전 연령대 응답자가 1순위로 선호하는 지급수단으로 신용카드(54.7%)를 가장 많이 꼽았다. 50대 이하는 신용카드에 이어 모바일카드를 두 번째로 많이 지목했다. 60대 이상만 신용카드(52.1%) 바로 다음으로 현금(30.2%)을 선택했다. 체크카드(13.7%), 모바일카드(2.9%) 등 비율은 그에 한참 못 미쳤다.
현금을 가장 선호한다고 응답한 비중은 20대(3.6%)·30대(2.9%)·40대(2.7%)·50대(5.5%)에선 한 자리 수에 불과했다. 20~40대를 중심으로 현금 사용을 꺼렸다. 비대면 거래, 간편결제 확산과 맞물려서다.
향후 비대면 결제 수단이 다양화되고, 스테이블코인 등이 본격 보급되면 현금 사용이 더 줄어들 수 있다. 다만 현금 거래가 급격히 줄어들면 고령층 중심으로 불편이 커질 수 있다. 또 비대면 거래 수단이 가진 보안 취약성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한은은 이 보고서에서 “현금 이용에 불편을 겪지 않도록 노력하는 동시에, 디지털 금융 취약 계층에 대한 교육 기회를 확대하여 비현금 지급수단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면서 “비현금 지급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개인정보 유출 등으로 인한 보안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 보안 체계를 고도화하고 사고 발생 시 소비자 보호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