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연상태의 비단벌레. 현재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있다. 사진 국가유산청
오색 영롱한 비단벌레 날개 장식이 경주 황남동 출토 금동관에서 발견됐다. 신라 최상위층 고분에서 비단벌레 장식이 일부 나온 적 있지만 금관 혹은 금동관에서 확인된 건 처음이다.
국가유산청은 21일 2020년 출토된 황남동 120-2호분 금동관을 보존처리하는 과정에서 총 13곳에서 비단벌레 날개 15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7장은 관에 붙은 채, 나머지 8장은 떨어져 나와 주변에 흩어진 상태였다고 한다.

국가유산청이 2020년 경주 황남동 120-2호 무덤에서 출토된 금동관을 보존 처리하는 과정에서 비단벌레 날개 장식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사진은 경주 황남동 120-2호분 금동관 출토 상태. 사진 국가유산청

경주 황남동 120-2호 무덤에서 출토된 금동관을 보존 처리하는 과정에서 비단벌레 날개 장식이 확인했다. 거꾸로 된 하트 모양 중 왼쪽이 비단벌레 날개 장식이 붙어 있는 부분이고 오른쪽은 떨어져나가 구멍 상태다. 사진 국가유산청
6세기 초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이 무덤에선 앞서 금동관과 금동신발, 금귀걸이, 구슬 팔찌 등 장신구 일체가 착용 상태 그대로 모습을 드러내 주목받았다.
발굴 조사를 담당한 김권일 신라문화유산연구원 학예연구실장은 “신라 문화권에서 발견된 금관이나 금동관에서 이렇게 뒤집힌 하트 형태 구멍이 확인된 것도 처음이고 여기에 비단벌레 장식을 더한 것도 첫 사례”라고 설명했다.

비단벌레 날개 위치 확인을 돕기 위한 금동관 모식도. ① 출자형 세움장식 중앙 끝단에 3매가, ②,③ 출자형 세움장식 좌우 끝단에 각 1매가, ④ 관테에 1매, ⑤사슴뿔형 세움장식에 1매가 붙은 채 출토됐다. 총 15장 중 나머지 8장은 떨어져 나와 주변에 흩어진 상태였다 사진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청은 “금동관에서 보이는 출(出)자 모양 세움장식이 학계에서 신라 왕족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여겨지는 만큼, 비단벌레 날개 장식은 단순한 미적 표현을 넘어 착장자의 사회적 위상을 짐작하게 한다”면서 “신라 공예기술에서 비단벌레 날개 사용 범위를 넓히는 한편 지배계층 문화의 관계를 보여주는 자료로서 학술적 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자연상태의 비단벌레. 현재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있다. 사진 국가유산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