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美, 화웨이 제한하면 제재"…왕이, 강경화 만나 반도체 언급

화웨이 어센드칩. 미국 상무부가 지난 13일 화웨이 칩의 사용을 국제적으로 금지하는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자 중국이 제재를 언급한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사진 화웨이

화웨이 어센드칩. 미국 상무부가 지난 13일 화웨이 칩의 사용을 국제적으로 금지하는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자 중국이 제재를 언급한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사진 화웨이

중국이 미국의 화웨이 규제에 반발하며 보복 조치를 주장했다. 최근 미 상무부가 화웨이의 인공지능(AI) 칩 '어센드' 사용을 규제한 데 대해서다. 이와 관련, 21일 중국 상무부는 "해당 조치를 시행하는 조직이나 개인을 제재하겠다"고 위협했다.

상무부는 이날 대변인 명의의 담화문을 통해 "미국의 조치는 전형적인 일방적 괴롭힘이자 보호주의 관행"이라며 이런 보복 조치를 거론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미국 측의 조치가 중국 기업에 대한 차별적 제한 조치"라며 "어떤 조직이나 개인이 미국 측 조치를 시행하거나 시행하는 데 도움을 준다면 '반(反)외국제재법' 등의 법률 규정 위반 혐의로 법적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했다. 2021년 6월 제정된 반외국제재법은 위반 기업 또는 개인을 대상으로 비자 취소나 추방, 중국 내 재산 압수 및 동결, 중국 내 거래 및 활동 금지, 기타 필요한 조치 등의 처벌 규정을 두고 있다.

미 상무부의 산업안보국(BIS)은 지난 13일 성명을 통해 조 바이든 행정부의 AI 수출통제 정책을 폐기하면서 동시에 화웨이에 대한 제재를 강화했다. 특히 화웨이의 AI 칩인 어센드 910B, 910C, 910D 칩 등을 콕 집어 "미국의 기술을 사용해 개발됐을 수 있으며, 이들 칩의 사용이 미국의 수출통제 규정을 위반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 세계 어디에서든 화웨이의 어센드 칩을 사용하면 미국의 수출통제를 위반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말레이, 하루 만에 화웨이 AI칩 계획 철회

 
말레이시아의 경우 중국 화웨이 반도체로 구동되는 인공지능(AI)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가 하루 만에 이를 사실상 철회했다.  

21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테오 니에 칭 말레이시아 디지털통신부 차관은 19일 "말레이시아가 화웨이 어센드 칩 기반 AI 서버를 국가적 규모로 가동하는 세계 최초 국가가 될 것"이라고 연설에서 말했다. 그는 2026년까지 화웨이 AI 서버 3000대를 도입할 예정이며,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도 말레이시아에 AI를 공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블룸버그통신은 "차관실에 확인한 결과 별다른 설명 없이 화웨이 관련 발언을 취소한다고 말했다"고 보도했다. 화웨이도 말레이시아에 어센드 칩을 판매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렇게 이례적인 발언 취소에는 미국의 압력이 작용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통신은 "말레이시아는 트럼프 행정부의 AI 외교 시험대인 국가"라고 전했다. 말레이시아는 최근 수년간 구글,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기업 데이터센터를 유치하며 성공했지만, 화웨이 등 중국 기업과도 적극적으로 협력해왔다. 

20일 강경화(왼쪽) 아시아소사이어티 회장이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왕이(오른쪽) 중국 외교부장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사진 중국 외교부

20일 강경화(왼쪽) 아시아소사이어티 회장이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왕이(오른쪽) 중국 외교부장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사진 중국 외교부

왕이 "중국산 반도체 금지 강력 반대”

한편 왕이(王毅) 중국 외교부장은 20일 문재인 정부에서 외교장관을 지낸 강경화 아시아소사이어티 회장을 만나 미국의 중국산 반도체 규제에 맹비난했다.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이날 왕 부장은 "미국이 중국의 합법적인 발전 권리를 억제·억압하고 있으며, 최근 중국산 칩에 대한 전면 금지를 시도했다"며 "이는 노골적인 괴롭힘으로 중국은 강력히 반대한다"고 말했다.

이에 강 회장은 "아시아소사이어티는 중국의 수천 년 문화에 깊은 이해를 갖고 있으며, 사실에 기반을 두고 객관적인 중국 인식을 계속 공유하길 원한다"며 "미국 내 식자들과 함께 오해를 해소하고 이해를 증진하는 대화 플랫폼을 만들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고 한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