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외교차관 "‘중요 문제’ 의견 교환…소통 유지 합의"

23일 미국과 중국 외교부 차관급이 전화 통화를 갖고 소통 채널 유지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크리스토퍼 랜도(왼쪽) 미 국무부 부장관과 마자오쉬(오른쪽) 중국 외교부 상무부부장. AP=연합뉴스

23일 미국과 중국 외교부 차관급이 전화 통화를 갖고 소통 채널 유지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크리스토퍼 랜도(왼쪽) 미 국무부 부장관과 마자오쉬(오른쪽) 중국 외교부 상무부부장. AP=연합뉴스

23일 미·중 양국 외교부가 차관급 전화 통화를 갖고 중요한 문제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고 소통을 유지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미국 국무부는 22일(현지시간) 크리스토퍼 랜도 미 국무부 부장관이 마자오쉬(馬朝旭) 중국 외교부 부부장과 전화통화를 갖고 “양자 관계가 양국 국민과 세계에 중요한 점을 인정했다”고 밝혔다. 또 “상호 관심사를 폭넓게 논의했으며 소통의 선을 열어두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동의했다”고 덧붙였다.

곧이어 중국 외교부도 “양측이 최근 중·미 관계 및 공동 관심의 중요한 문제에 대해 솔직하고 깊이 있게 의견을 교환했다”고 발표했다. 마 부부장은 “중국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제시한 상호존중·평화공존·협력공영의 3원칙에 따라 중·미 관계를 바라보고 처리한다”며 “미국이 중국과 함께 마주 보고 양국 관계의 안정, 건강, 지속가능한 발전을 추동하길 희망한다”고 했다.

마 부부장은 앞서 지난 20일 데이비드 퍼듀 신임 주중 미국대사와 첫 회담을 가졌다. 이와 관련, 중국 외교부는 “양국 관계 및 공동 관심의 중요한 문제에 대해 솔직하고 깊이 있게 의견을 교환했다”라고 밝혔다. 

중국으로부터 제재를 받는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지난 1월 24일 왕이(王毅) 중국 정치국위원 겸 외교부장과 한 차례 전화통화를 가졌지만, 이후 넉 달째 후속 통화나 대면 회담은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미·중 양국은 지난 10~ 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고위급 회담을 갖고 관세율을 각각 115% 포인트씩 낮추는 데 합의했다.


허리펑 “미국 기업과 협력 환영”

한편 허리펑(何立峰) 중국 국무원 부총리는 22일 미국 최대 은행인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최고경영자(CEO)와 만나 미국 기업의 협력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열린 면담에서 허 부총리는 “최근 중·미 경제무역 회담에서 실질적 진전을 이뤘으며, 이는 양국이 계속 경제무역 협력을 진행할 조건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이어 “모건스탠리 그룹을 포함한 미국 기업이 중국과 상호 협력을 계속해서 심화하고, 중·미 경제무역 관계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을 촉진하는 데 기여하기를 환영한다”고 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