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내수도 수출도 빨간불…K전기차, 중국車‧하이브리드에 '샌드위치' 한국자동차모빌리티협회(KAMA)에 따르면, 올해 3월 국내 전기차 판매량은 1만8708대로 지난해 3월 2만225대보다 7.5% 줄었다. KAMA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국내 완성차 업체의 전기차 수출은 전년동기 대비 21.7% 감소한 6만3933대였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자문위원은 "최근 중국산 전기차 가격인하로 다른 완성차 업체도 가격을 낮추면서 전기차 판매량이 늘고 있다"며 "전기차 캐즘이 끝나더라도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많이 팔아도 남는 게 적은 상황에 처할 수 있어서 고민이 클 것"이라고 전망했다.
-
샤넬·디올 제치고 '넘버1' 꿰찬 K뷰티…도쿄 시부야 홀렸다[비크닉] 에스티로더·샤넬·디올 등 해외 럭셔리 브랜드와 시세이도·가네보·루나솔 등 일본 대형 화장품 브랜드가 도열한 가운데 낯익은 한국 브랜드 ‘헤라’의 팝업이 한창이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의 니야마 노리코 도쿄 무역관은 "K-뷰티 제품 중 이미 일본 내 인지도가 어느 정도 올라온 유명 브랜드의 경우 한국 제품이라서 쓴다기보다, 브랜드가 유명해서 혹은 주변 사람들이 쓰니까 선택하는 식이 많다"며 "딱히 한국 브랜드라는 것을 의식하지 않을 정도로 (일본 대중에) 깊숙이 들어온 느낌"이라고 말했다. 강지웅 아모레퍼시픽 미국 법인 전략팀장은 "현재 미국에서는 두 번째 K-뷰티 부흥이 일어나고 있는 중"이라며 "초기 K-뷰티가 합리적 가격과 새로운 성분으로 주목받았다면 현재는 좋은 품질과 높은 효능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이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
61년 전 에티오피아로 첫 수출… K-뷰티 헤리티지를 만든 이 회사 [비크닉] 과거 국내 화장품 산업은 주로 브랜드와 제조, 혹은 브랜드·제조·유통이 통합된 형태로 전개됐다. 삼일 PwC 경영연구원이 지난해 4월 발간한 ‘K-뷰티 산업의 변화’ 보고서에서는 이 시기를 "제품 출시 기간이 기존 2년에서 6개월 정도로 짧아졌고, (비교적 출시 기간이 긴) 해외 브랜드와의 경쟁은 제한되고, 국내 브랜드 사이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국내 브랜드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었던 시기"라고 분석했다. 또한 이 시기 폭발적으로 커졌던 중국 시장은 한국 화장품 산업의 양적 성장을 가져왔다.
-
K-뷰티는 카테고리 킬러?...‘넥스트-쿠션’ 나오려면 [비크닉] 나카무라 히데노리 아모레퍼시픽 일본법인 라네즈 브랜드 매니저는 "일본에서는 K-컬쳐가 단순한 유행을 넘어 하나의 확고한 문화적 장르로 자리 잡았다"며 "자연스레 젊은 세대 사이에서 K-뷰티 사용자가 점차 늘고 있고 이런 현상이 일본의 기성 세대에게도 좋은 영향을 주고 있다"고 말했다. K-뷰티 전문 유통업체 실리콘투 관계자는 "높은 품질과 신선함, 낮은 가격의 삼박자를 고루 갖췄다는 게 K-뷰티의 특징"이라며 "매달 매출 순위 교체가 잦을 정도로 흐름이 빠르고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품질이든 가격이든 계속해서 혁신하지 않으면 생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한 K-뷰티 브랜드 대표는 "미국에서 유통되는 뷰티·퍼스널 케어 제품의 70% 가까이가 여전히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되고 있다"며 "어려워도 오프라인까지 진입해 소비자들을 효과적으로 만나고, 오프라인 매장을 점유하고 있는 기존 브랜드와 경쟁하면서 대세 브랜드라는 인식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
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