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환기 그림 '우주' 132억에 낙찰…국내 미술품 최고 기록
종전 한국 미술품 최고가는 역시 김환기의 그림으로 지난해 5월 홍콩 서울옥션에서 기록한 85억원으로, 불과 1년 반 사이에 가격이 50억원 가량 껑충 뛴 점도 눈길을 모은다. 이는 김 화백 작품 최고가인 동시에 한국 미술품 경매 최고가이다. 김환기는 작년 5월 서울옥션 홍콩 경매에서 붉은색 점화 ‘3-II-72 #220’이 85
2019.11.23 19:25
1
-
영남대-수학, 인제대-물리학 연구 경쟁력 최고
인제대는 물리학, 영남대는 수학, 세종대는 사회과학·우주과학 분야에서 각각 연구 경쟁력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인제대 교수 등 연구진이 이 기간에 물리학 분야의 상위권 학술지에 낸 논문은 총 150편이었는데 이들 논문의 분야별 영향력 지수(CNCI)는 5.63이었다. 세종대의 우주과학 분야 논문의 영향력 지수는 3.15
2019.11.23 00:40
0
-
불법체류 유학생 3년 새 1만 명 늘어…베트남 국적 63%
당시 외국에서 국내 대학으로 유학 온 학생 수가 당시 해외로 유학 가는 한국 학생들의 10%도 안 되며, 국내 대학들이 문호를 개방하지 않아 ‘우물 안 개구리’에 머무르고 있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였다.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업에서 뒤떨어지고 중도탈락하게 되면 불법체류자로 전락하는데 유학생들의 학업을 지원해
2019.11.23 00:29
0
-
서울대는 ‘유학생 다양성’ 성대는 ‘재학생 대비 비중’ 1위
지난 20일 국내 학생이 주로 찾는 대형 프렌차이즈 카페와 달리 머리색과 피부색이 다양한 외국인 학생들이 한국어와 모국어를 섞어가며 대화하는 소리로 가득했다. 한국외국어대는 2019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외국인 교수 비율 2위, 외국인 학생 비율 8위 등 국제화 분야에서 높은 순위에 올랐다. 7위 세종대는 한국어가
2019.11.23 00:28
0
-
덜 가르치고 더 코칭…대학 ‘실험실서 시장으로’ 나가라
"우리 대학을 졸업한 최고경영자 (CEO)가 운영하는 기업은 총 1만 213개다. 기업신용평가기관인 한국기업데이터가 집계한 자료(2018년 12월 말 현재)에 따르면 이들 기업은 72만 명을 고용하고 있고, 연 573조원의 매출(한국 GDP의 33.1%)을 거두고 있다. 현재 설립 7년 미만 스타트업의 대표 출신 대학을 따져보면 한양대
2019.11.23 00:26
0
-
유학생 ‘차이나 파워’…“그들이 없으면 학교 운영 어렵다”
휴대폰 대리점의 매니저는 "오늘 오전 11시부터 신형 아이폰11을 3대 팔았다. 모두 중국인 유학생이 사 갔다. 건대 점퍼 입은 중국인 학생이 부모와 같이 와서 가족 할인받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21일 한국외대 캠퍼스에는 홍콩 시위 지지와 대학을 규탄하는 대자보가 교내 곳곳에 널려있고 바로 옆에는 "외부 단체의
2019.11.23 00:02
163
-
[선데이 칼럼] 한국당, 여전히 폐업이 답이다
"한국당은 폐업 말고는 답이 없다". 그런데도 한국당은 개혁 아닌 연명(延命)을 택했다. "완전히 갈아엎고 불을 놓아야 한다. 야초와 잡목을 태워 지력을 회복하는 화전 말고는 방법이 없다. 유권자들이 ‘이제 됐다’고 할 때까지 스스로 불에 타 재가 쌓여야 한다. 정치는 감동이다. 그런 감동이 없으면 결코 싹이 나지
2019.11.23 00:20
0
-
[사설] 지소미아 파국 막아 다행, 문제는 지금부터
지소미아 종료로 인한 한·미 동맹의 심각한 균열과 한·미·일 안보협력의 혼선을 막고 문제 해결을 위한 시간을 갖게 된 점에선 다행스런 일이다. 사흘 전 문재인 대통령이 직접 국민을 상대로 "지소미아 종료 문제는 일본이 원인을 제공한 것"이라며 "군사정보 공유는 모순되는 것"이라고 밝힌 것에서 한발 물러섰다. 수
2019.11.23 00:20
0
-
[양영유 曰] 대통령의 나쁜 교육
① 정치가 입시를 지배한다 =대통령의 정시 확대 지시는 다분히 정치적이다. ② 수월성 교육을 죽인다 =전교조와 좌파 교육감들이 정시 확대 반기를 들자 외고·자사고 폐지를 선물로 안겼다. ③ 실패에서 배우지 못한다 =문 대통령은 『운명』에서 "참여 정부가 훨씬 잘할 줄 알았는데 그러지 못한 대표적 분야가 교육이다
2019.11.23 00:20
0
-
서울 집값, 세계 5위권 눈앞…文정부 역대급 최강규제의 역설
공식 통계기관인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이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2017년 5월 이후 지난달까지 2년 반 동안 11.6% 올랐다. 이번 정부 들어 서울 집값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노무현 정부가 2007년 9월 민간택지 상한제까지 4년 반 동안 도입한 규제를 이번 정부는 2년 반 만에 모두
2019.11.23 05:16
7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