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 70주년에 1인당 GDP 1만 달러 시대 활짝
주목할 점은 중국이 올해 ‘국민소득 1만 달러 시대’도 함께 열게 됐다는 점이다. 국제통화기금(IMF) 2018년 통계를 기준으로 중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명목 금액으로 9608달러로 세계 67위다. 구매력 등을 고려한 구매력지수(PPP)로는 9691달러로 세계 82위다. 어느 기준에 맞추든 중국은 올해 성립 70주년과 동시에 1인당 GDP 1만 달러 시대 입성이라는 겹경사를 맞게 됐다. 성립 70주년을 맞은 중국은 누가 봐도 ‘승천하는 용’이다.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지금까지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뤘고 이제 미국과 무역 분쟁을 벌일 정도로 글로벌 경제 대국이 됐다.
민주주의·자유·인권과 거리감이 홍콩 사태로
건국 70년이 되도록 여전히 약한 부분도 있다. 경제성장으로 대국을 지향하면서도 민주주의나 자유·인권 같은 인류 보편적 가치와는 거리를 둔다는 점은 문제로 지적된다. 지난 6월부터 진행 중인 홍콩 사태의 원인으로 지적되는 부분이다. 이는 중국이 대만과의 통일 방식으로 염두에 두는 일국양제의 한계를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다.
미, 유엔총회에서 종교문제로 중국 난타
중국이 가진 또 하나의 아킬레스건은 종교다. 올해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70주년을 맞은 중국은 미국으로부터 축하는커녕 종교문제를 둘러싼 대대적인 비판에 직면했다. 특히 현재 미국 뉴욕에서 열리고 있는 유엔 총회가 미국의 ‘중국 때리기’ 행사장이 되고 있다. 미국이 종교 문제를 중국의 ‘아킬레스건’으로 보고 공세를 집중하는 형국이다.
미국의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은 지난 9월 22일 유엔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뉴욕을 방문한 자리에서 중국 당국이 중국의 신장(新疆)위구르 자치구에서 무슬림(이슬람교 신자) 소수민족인 위구르족을 탄압하는 것에 대해 “자국민의 이슬람 신앙과 문화를 말살하려는 시도”라고 강하게 비난했다.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타지키스탄·키르기스스탄·투르크메니스탄 등 무슬림 인구가 대수인 중앙아시아 5개국 장관과 회담한 뒤 이같이 발언했다.
9월 24일에는 미국의 존 설리번 국무부 부장관이 유엔총회가 진행 중인 뉴욕에서 위구르족 탄압에 대한 토론회를 열었다. 미국과 영국·독일·캐나다·네덜란드가 공동 주최한 이 토론회에는 유럽연합(EU) 대표를 비롯한 30여 국가 대표와 20여 개 비정부기구 집행부가 참가했다. ‘미국의 소리 방송(VOA)’에 따르면 이 자리에서 설리반 부장관은 “(중국에서) 국가 주도 탄압의 생존자들이 잇따르는 상황에서 유엔과 회원국들이 목소리를 높이며 책임감을 보였다”라고 말했다.
위구르인과 티베트인은 종교적 소수민족
미국 국무부는 지난 3월 발표한 인권보고서에서 위구르족 80만~200만 명이 중국 당국에 구금돼 이른바 ‘재교육’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무슬림인 위구르족의 사상 개조를 위한 강제 교육 캠프를 운영한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중국 당국은 대규모 수용시설의 존재는 인정하면서도 이슬람 극렬 테러분자들을 교화하는 직업교육 기관이며 입출소도 자유롭다고 주장해왔다.
이에 대해 설리반부장관은 “(인간의) 근본적인 자유와 인권에 대한 (중국 당국의) 공격에 국제사회가 어떻게 대응했는지 훗날 역사가 평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당국에 “유엔 인권 최고대표의 즉각적이고 방해받지 않으며 감시 없는 현장 조사 활동을 허용하라”고 촉구했다.
영국의 진보신문인 가디언은 지난 23일 위구르인으로 보이는 수백 명이 땅바닥에 앉아 중국 공안(경찰)의 감시를 받는 동영상이 유튜브에 등장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머리는 삭발하고 죄수복으로 보이는 유니폼을 입었으며 눈은 가려졌고 등 뒤로는 수갑을 차고 있는 모습이었다. 서방의 외교관과 미디어가 위구르족 탄압 문제를 중국 당국에 제기하는 모습이다.
이처럼 무슬림인 위구르인은 중국의 대표적인 종교적 소수민족이다. 환상을 강력하게 믿는 티베트 불교 신자가 대부분인 티베트도 종교적 소수민족에 해당한다. 이들은 민족 정체성과 종교가 대체로 일치한다.
올해로 위구르인 소요 사태 10주년 맞아
올해는 2009년 7월 5일 신장위구르 자치주 우루무치에서 대규모 소요 사태가 벌어진 지 10년을 맞는 해다. 당시 1000~3000명의 위구르인이 분리 독립을 요구하며 시위에 나섰다. 중국 당국은 이 사태로 197명이 숨졌다고 발표했지만, 실제 희생자는 400~840명에 이른다는 주장도 있다.
2014년 5월에는 우루무치 아침 시장에서 차량 2대가 돌진해 폭발하는 사건으로 적어도 31명이 사망했다. 같은 해 7월 자치구의 서북쪽에 있는 카슈가르 지구 야르칸드에서 위구르인과 한족 간의 대규모 충돌이 발생해 96명이 숨졌다. 올해 우루무치 소요 사태 10주년에는 중국 당국의 삼엄한 경비와 경계로 아무런 일도 벌어지지 않았다.
중국 당국은 2017년 4월 이슬람 과격파 대책 조례를 제정해 무슬림의 상징 중 하나인 긴 수염 등을 금지했다. 2018년 10월에는 이슬람 과격파 대책 조례를 개정해 테러대책 명목의 시설 설치를 합법화했다. 위구르인 마을로 들어가는 자동차는 모두 바닥까지 검사할 정도이며, 주요 도시의 주차장과 식당 등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는 방탄 헬멧과 조끼를 착용한 경비원이 근무한다. 거리는 한족과 위구르인으로 이뤄진 경찰이나 경비대가 순찰한다. 중국은 1955년 10월 신장위구르 자치구를 설립했지만, 무슬림인 위구르인은 국내외에서 불만을 토로한다.
올해는 달라이 라마 탈출한 티베트 동란 60주년
티베트는 지난 3월 1일로 티베트 동란 60년을 맞았다. 중국은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이듬해인 1950년 10월 인민해방군을 티베트에 진주시켰는데, 주민과의 대립이 갈수록 격화했다. 중국 당국은 1959년 3월 1일 티베트 수도 라싸에 살던 달라이 라마 14세(1940년 2월에 티베트 불교 최고 지도자로 즉위한 현재의 달라이 라마)를 연극 관람을 하자며 불러냈다. 관람은 10일로 예정돼 있었는데 유괴를 의심한 주민들이 10일 대규모 항의 행동에 들어가 중국군과 충돌했다. 달라이 라마 14세는 17일 라싸를 탈출해 약 2주간의 여행 끝에 인도 국경을 넘어 인도에 망명 정부를 수립했다. 국제사회는 이를 티베트 동란으로 지칭하지만, 중국은 이를 티베트 반란으로 부르고 달라이 라마와 추종자들을 ‘분리주의자’로 비난한다.
중국은 1965년 9월 티베트 자치구를 성립해 통치했지만 1989년 3월에 라싸에서 대규모 소요사태가 발생하자 7일 자치구에 계엄령을 선포했다. 그해 12월 달라이 라마는 노벨평화상을 받았다. 중국 당국은 2002년 9월 달라이 라마 특사와 대화를 시작했다. 하지만 2008년 3월 라싸에서 다시 대규모 소요 사태가 발생해 14일 라마승이 분신자살하는 일이 벌어졌다. 양측의 대화는 2010년 2월 공식 결렬됐다. 이런 상황에서 맞은 티베트 동란 30주년은 별일 없이 넘어갔다. 하지만 티베트는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70주년을 맞은 중국 당국에 아킬레스건으로 남아있다. 티베트는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하기 전 준독립 상태로 존재했으며 중화민국(현재 대만)이 한때 종주권을 주장하기도 했다.
신장위구르와 티베트는 중국에서 어떤 위상을 차지하는가. 2017년 베이징 지질출판사에서 펴낸 『중국 토지자원과 이용』에 따르면 중국 영토 면적은 947만 8057㎢로 이 가운데 신장위구르는 163만1587㎢(17.21%)이며 티베트 자치구는 120만2189㎢(12.68%)에 이른다. 중국의 22개 성(省), 5개 자치구, 4개 직할시, 2개 특별행정구 등 33개 성(省)급 행정구역 중 면적으로 신장위구르가 1위, 티베트가 2위를 차지한다. 두 지역의 면적을 합치면 중국 전체의 거의 30%일 정도로 넓다.
하지만 두 지역 모두 인구는 적다. 2010년 중국 당국의 인구조사 결과 전체 인구 13억3972만 중 신장위구르 자치구는 2181만(1.63%), 티베트인 자치구는 300만(0.22%)에 지나지 않았다. 신장위구르는 중국 33개 성급 행정구역 중 25위이며, 티베트 자치구는 마카오(55만)에 이어 끝에서 둘째인 32위다. 두 지역 모두 중국 당국의 서부지역 개발로 한족 비율이 늘고 있다.
신장위구르의 민족별 인구분포는 위구르족이 45%, 한족이 40%, 카자흐족 7%, 후이(回) 족(언어와 혈통은 한족이지만 이슬람교를 믿는 집단) 5% 정도다. 티베트는 티베트족이 90%를 차지한다. 무슬림인 위구르족과 티베트 불교를 믿는 티베트족은 건국 70주년을 맞고 해도 지은 중국의 아킬레스건이 되고 있다. 민주주의·인권 문제와 함께 종교 문제 해결에 중국의 미래가 달렸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건국 70주년에 1인당 GDP 1만 달러 시대를 맞은 중국이 태평성대를 누리기 위해선 반드시 풀어야 할 과제다.
채인택 국제전문기자 ciimccp@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