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셔터스톡
#풍선효과가 뭐길래?
=수원 팔달구, 용인 수지구 등은 올해 들어 두 달도 안 돼 아파트 매매가격이 4~6%나 상승했다. 지난해엔 1년 내내 매매가격 변동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곳이다. 과열 우려가 커지자 정부가 5개 지역을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하면서 진화에 나선 거로 볼 수 있다.
#조정대상지역 지정되면?
=이 지역에 집을 가지고 있든, 가질 예정이든 이 소식이 딱히 좋을 건 없다. 일단 세금 부담이 커진다. 정리하면 대략 이렇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2주택 10%포인트, 3주택 20%포인트)·장기보유특별공제 배제
‧1세대 1주택 양도세 비과세 요건 강화(9억원 이하, 2년 이상 보유+거주)
‧분양권 전매 시 양도세율 50%
‧2주택 이상 보유자 종부세 추가 과세(0.2~0.8%포인트)
‧일시적 2주택자 종전 주택 양도 기간 3년→2년 이내로 축소

#대출은 당장 어쩌나
=2주택 이상인 가구는 아예 담보대출로 집을 사는 게 불가능해진다. 1주택 가구도 원칙적으론 주담대를 받지 못한다. 다만 기존 주택을 2년 이내에 처분하고, 새집에 전입한다는 조건을 충족하면 빌릴 수 있다. 9억원을 초과하는 집일 경우 실제 거주하지 않으면 주담대를 받을 수 없다.
#규제 세지면 집값도 내려갈까?
=조정대상지역 지정 자체가 집값의 향방을 좌지우지하는 건 아니다. 일찌감치 전 지역이 지정됐고, 규제가 더 엄격한 투기지역이 수두룩한 서울은 2017년 하반기부터 내내 집값이 상승했다. 경기도 일부 지역은 조정대상지역임에도 가격 변동이 미미했다. 과열 양상을 보여 조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됐지만 이후 지정이 해제된 부산 같은 경우도 있다.
장원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