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물리학상에 ‘블랙홀 발견’ 펜로즈·겐첼·게즈

로저 펜로즈, 라인하르트 겐첼, 앤드리아 게즈(왼쪽부터)

로저 펜로즈, 라인하르트 겐첼, 앤드리아 게즈(왼쪽부터)

영국의 로저 펜로즈(89·옥스포드대), 독일 라인하르트 겐첼(68·미 UC버클리대), 미국의 앤드리아 게즈(55·미 UCLA) 교수가 올해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6일(현지시간) 우주 블랙홀 발견에 대한 공로로 이들을 2020년 노벨 물리학상 공동수상자로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노벨위원회는 “펜로즈 교수는 블랙홀 형성이 일반 상대성 이론의 강력한 증거임을 규명했고, 겐첼 교수와 게즈 교수는 우리 은하 중심에 있는 초거대질량 블랙홀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게즈 교수는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네 번째 여성 과학자다.

상금은 9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0억9000만원). 단독연구인 펜로즈가 절반인 450만 크로나를 받고, 공동연구인 겐첼과 게즈는 나머지 450만 크로나를 절반씩 나눠 갖는다. 블랙홀은 빛조차 탈출할 수 없을 정도로 강한 중력을 가진 천체를 말한다. 하나의 블랙홀이 은하 전체의 물질을 중력으로 끌어들일 수 있을 정도로 영향력이 크다.

이영웅 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은 “펜로즈 교수는 실제 존재하는지 의문이 있었던 블랙홀의 존재를 수학적으로 증명했고, 겐첼 교수와 게즈 교수는 최신 망원경과 관측기술로 은하계에 존재하는 블랙홀의 존재를 실제로 봤다는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겐첼과 게즈 교수의 발견 전까지만 하더라도 블랙홀은 주위의 가스나 항성을 흡수하면서 나오는 강력한 제트 분출현상을 통해서만 관측됐다”며 “우리 은하 중심에서 초거대 질량 블랙홀(태양 질량의 450만배)의 존재를 처음으로 관측을 통해 밝혀낸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