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이 최근 내놓은 ‘저출산고령화 감사 결과 보고서’가 그린 100년 후 한국의 우울한 현실이다. 통계청에 의뢰해 100년 후인 2117년의 인구를 추계한 결과가 나와 있다. 통계청은 50년 후인 2067년까지는 장래 인구추계를 했으나 100년 후 추계는 이번이 처음이다.

국내 지역별 100년 후 인구 전망. 그래픽=김경진 기자capkim@joongang.co.kr
19일 이에 따르면 합계출산율 0.98명(2018년 전국 합계출산율)과 중위 수준의 사회적 이동이 지속될 것으로 가정할 때 한국 전체 인구는 2017년 5136만명에서 2067년엔 3689만명으로 감소하며, 100년 뒤인 2117년에는 1510만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서울 인구는 2017년 977만명에서 50년 뒤엔 64% 수준인 629만명, 100년 후엔 27% 수준인 262만명으로 4분의 1토막날 것으로 추계됐다.
지방 대도시의 인구 감소는 더욱 가파르다. 2017년 342만명이었던 부산 인구는 50년 후엔 191만명, 100년 후엔 21%에 불과한 73만명으로 쪼그라든다. 대구는 2017년 246만명에서 50년 뒤엔 142만명, 100년 후엔 지금의 22%인 54만명으로 수축한다. 2017년 150만명이었던 광주는 50년 뒤 91만명, 100년 후엔 35만명으로 지금의 23% 수준으로 줄어든다.
해마다 인구가 크게 늘고 있는 경기도의 경우 2017년 1279만명에서 2067년엔 1065만명, 2117년엔 441만명으로 지금의 3분의 1토막이 된다.
인구 고령화의 속도도 빠르다.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2017년엔 총인구의 13.8%였으나 30년 후엔 39.4%, 50년 후엔 49.5%, 100년 뒤엔 52.8%로 높아진다.
감사원은 이와 함께 장래 지방 소멸위험도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2017년 229개 시ㆍ군ㆍ구 중 83개인 소멸위험지역이 2047년에는 모든 시ㆍ군ㆍ구로 확대되고 이 중 고위험지역이 157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67년, 2117년에는 고위험지역이 216개, 221개로 확대됐다.

시·군·구별 장래 소멸위험지역.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지방소멸 위험지수’란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20세에서 39세 사이 ‘가임기 여성의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것이다. 0.2∼0.5는 '인구소멸 위험단계', 0.2 미만은 '인구소멸 고위험단계'로 분류한다.
서울의 경우 2047년엔 종로ㆍ성동ㆍ중랑ㆍ은평ㆍ서초ㆍ강서ㆍ송파 등 23개 구가 소멸 위험단계에 진입하며, 2067년엔 노원ㆍ금천ㆍ종로 등 15개 구가 소멸 고위험 단계에 들어갈 것으로 예측됐다.
100년 후인 2117년엔 서울에선 강남ㆍ광진ㆍ관악ㆍ마포구를 제외한 모든 구가 소멸 고위험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됐다. 지방에서는 부산 강서, 광주 광산, 대전 유성을 뺀 모든 지역이 소멸 고위험군에 들어간다. 인구 소멸 위기를 피할 것으로 예상되는 8개 지역은 대학이나 학군, 신도심, 일자리, 산업ㆍ연구개발 중심지 등의 강점으로 젊은 세대를 흡수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것으로 평가됐다.
지역 소멸 위험 분석에 참여한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연구위원은 “지금의 저출산 추세로 보면 이번 추계는 보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면서 “실제 지역 소멸 속도가 크게 앞당겨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 이 연구위원은 “인구의 급격한 감소가 몰고 올 사회ㆍ경제ㆍ정치적 충격에 대한 인식이 너무 안이하고 낙관적이다”라면서 “지금부터라도 국가의 시스템 전반을 미래 지향적으로 총체적으로 바꾸지 않으면 저출산고령화가 초래할 지역 소멸 위기를 헤쳐나갈 수 없다”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