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오후 대전시 서구 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선별검사소에서 의료진들이 시민들을 검사하기위해 분주히 이동하고 있다. [중앙포토]](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1/13/13aa707f-601c-40f8-a313-ca613fea4a77.jpg)
10일 오후 대전시 서구 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선별검사소에서 의료진들이 시민들을 검사하기위해 분주히 이동하고 있다. [중앙포토]
13일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5주차 예방접종 여부에 따른 코로나19 환자 발생률·위중증화율 등을 분석한 결과, 미접종자 대비 2차 접종자의 감염 예방 효과는 58.2%, 3차 접종자는 80.9%로 나타났다.
중증으로 진행할 위험은 미접종자보다 2차 접종자가 92.3%, 3차 접종자가 100% 더 낮았다.
당국은 "3차 접종완료자는미접종자는 물론, 2차 접종완료자보다도 감염 및 중증 예방 효과가 더 크다는 점이 확인됐다"며 "접종 후 확진 판정을 받는 경우에도 3차 접종자의 중증 진행 예방 효과가미접종자나 2차 접종자보다 크다는 점도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60대 이상 고령층의 3차 접종률은 82.4% 수준까지 올라가면서 인구 10만명당 일평균 발생률과 전체 확진자 중 60세 이상의 비중이 꾸준히 감소했다.
지난해 12월 3주까지만 해도 전체 확진자 중 60세 이상의 비중은 30.5%에 달했으나, 올해 1월 1주에는 16.6%로 크게 낮아졌다.
당국은 아울러 18∼59세 연령층도 3차 접종 필요성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