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과 예산·태안·청양 등 충남지역 10개 시·군에는 공공은 물론 민간에서 운영하는 산후조리원조차 없다. 이들 가운데 6곳은 산부인과도 마련돼 있지 않다. 이 때문에 출산과 산후조리를 위해 다른 지역까지 가는 ‘원정 출산·산후조리’를 감수해야 한다. 오가는 시간에다 고액 비용까지 ‘이중고’를 겪는 셈이다.
24일 충남 홍성의료원에 문을 연 공공산후조리원. 충남도와 홍성의료원은 2월 7일부터 본격 운영에 들어갈 방침이다. [사진 충남도]
산후조리원이 없는 지역 임산부를 위해 충남도가 홍성의료원에 24일 공공산후조리원을 열었다. 산후 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상대적으로 복지혜택이 부족한 농·어촌지역 여성에게 균등한 기회를 주기 위해서다. 충남에 공공산후조리원이 문을 연 건 이번이 처음이다.
홍성의료원에 마련된 공공산후조리원은 산모실(8실)과 신생아실, 수유실, 상담실, 프로그램 진행실 등을 갖췄다. 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 전문의를 비롯해 간호사·간호조무사 9명이 24시간 산모와 신생아를 돌본다. 신생아실마다 웹캠을 설치, 산모들이 언제든지 아기를 볼 수 있도록 했다.
비용은 2주를 기준으로 182만원으로 책정됐다. 2주간 250만원이 넘는 민간 산후조리원과 비교해 25%가량 저렴한 금액이다. 공공기관(충남도·홍성의료원)에서 운영하는 조리원이라 믿고 이용할 수 있다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장애인과 셋째 이상은 10~50%를 추가로 감면받을 수 있다. 이용은 분만 예정 달 2개월 전 매달 첫 번째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 평일 오후 2시부터 선착순 방문 예약을 원칙으로 한다.
충남소방본부 119구급대원이 임산부가 차량에서 내리는 것을 돕고 있다. [사진 충남소방본부]
충남도는 산후조리원을 찾아 대전과 천안까지 가는 충남 서북부지역 임산부들이 홍성의료원 산후조리원을 이용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2018년을 기준으로 충남지역 산모의 51%가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35.9%는 충남 도내, 15.1%는 다른 지역 민간산후조리원을 이용했다. 당시 조사에서 전국 평균은 75.1%로 충남보다 25%포인트가 높았다. 충남지역 산모의 복지 혜택이 낮은 것을 보여주는 수치다.
충남도는 산모와 지역 주민의 반응을 지켜본 뒤 논산·부여·서천 등 남부지역에 추가로 공공산후조리원을 개설할 예정이다.
양승조 충남지사가 지난해 2월 충남 천안에 마련된 행복주택을 방문, 아이를 안고 있다. [사진 충남도]
양승조 충남지사는 “저출산 극복은 민선 7기 도정의 최우선 과제로 그동안 역점을 두고 추진해왔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시·군으로 공공산후조리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신진호 기자 shin.jinho@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