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가 내린 14일 우산을 쓴 시민들이 노란 영춘화가 핀 산책로 담벼락을 따라 걷고 있다. 연합뉴스
기상청은 17일부터 19일까지 전국 곳곳이 두 차례 서로 다른 저기압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분석했다. 우선 중국 남부에서 남해상을 지나는 저기압으로 인해 17일 오전 충청 이남 지역에 강수가 시작됐다. 이날 밤에는 수도권 등 전국으로 비가 확대될 예정이다. 18일 오전엔 저기압 중심이 일본 열도로 넘어가면서 빗방울도 대부분 그치겠다. 다만 동해안은 동풍이 계속 유입되면서 지형적 효과로 인해 비가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그 직후 북서쪽에서 차가운 공기를 가진 새로운 저기압이 내려오면서 국내에 다시 빗방울이 떨어지겠다. 이 비는 19일 새벽~오전 시간대에 집중될 것으로 예고됐다. 오후엔 중부 지방, 밤에는 남부를 포함한 대부분 지방에서 그칠 것으로 보인다. 중부 지방과 경북 등엔 비나 눈이 내릴 수 있고, 기온이 낮은 산간·내륙 지방엔 많은 눈이 내릴 것으로 예측된다.

제설 장비가 눈을 치우는 모습. 뉴스1
다만 눈·비 여부와 강수량·적설량 등은 변동성이 크다. 한상은 기상청 기상전문관은 "0.1도 소수점 단위의 기온 변동으로도 눈 내리는 지역이 확대되거나 눈이 비로 바뀔 수 있다. 기존 예보에서 조정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최신 기상정보를 확인하는 게 좋다"면서 "19일 중부 산간·내륙 지방은 많은 눈으로 인한 교통안전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17~19일 시간대별 강수 예상도. 자료 기상청
다음 주 초반까지 쌀쌀한 날씨가 이어지다 24일부터 기온이 빠르게 올라갈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중부를 중심으로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권을 기록하면서 추울 수 있다. 일교차가 커지기 때문에 감기 등에 걸리지 않도록 조심하는 게 좋다.
17일 밤~19일 오전 경상 동해안, 남해안, 제주도 등을 중심으로 순간풍속 초속 20m 이상의 매우 강한 바람이 불 것으로 예고됐다. 동·서·남해 전 해상에서도 19일까지 강풍과 풍랑이 이어지는 만큼 항해하거나 조업하는 선박은 주의해야 한다. 한상은 기상전문관은 "동풍 기류가 계속 유입되는 동해안은 너울에 따른 안전사고에도 대비할 필요가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