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악, 일제 때도 지켰는데" 교육과정서 제외, 인간문화재 분노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들이 4일 서울 서초구 정효국악문화재단에서 국악을 배제한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항의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들이 4일 서울 서초구 정효국악문화재단에서 국악을 배제한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항의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학교 국악 교육 지키기에 인간문화재들이 나섰다.    

이영희ㆍ안숙선ㆍ신영희 등 국가무형문화재 국악 관련 예능 보유자 12명은 4일 서울 서초동 정효국악문화재단에서 성명을 발표하고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국악 관련 내용이 빠진다는 참담한 소식을 접했다”면서 “이를 철회하고 국악을 음악과 교육과정에 적시해 줄 것을 정부에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방탄소년단이 해외 공연에서 아리랑을 부르고 전 세계인이 이를 알게 되는 등 K컬처를 통해 우리 문화의 우수성이 세계에 알려졌다”며 “이런 문화적 변화는 학교 교육을 통해 우리 민족문화의 꽃이라 할 수 있는 국악의 저변확대가 가능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 더욱 활성화시켜서 K컬처를 주도해야 할 이 시기에 교육과정에서 국악을 뺀다는 것은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또 “일제의 민족문화 말살정책의 와중에도 오롯이 국악을 지켜주신 선배 국악인들을 생각하면 저희 세대에서 국악이 크게 위축된다는 현실에 죄스러움 마음뿐”이라며 “후배와 제자들을 볼 면목이 없다”고 말했다.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들이 4일 서울 서초구 정효국악문화재단에서 국악을 배제한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항의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들이 4일 서울 서초구 정효국악문화재단에서 국악을 배제한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항의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국악계는 지난달 중순 교육부가 추진 중인 ‘2022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시안’이 공개된 이후 교육 목표를 의미하는 ‘성취 기준’ 항목에 국악 관련 내용이 하나도 없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현행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총 6개 항목의 국악 관련 내용이 ‘성취 기준’으로 명시돼 있고, 이에 따라 초중고 음악 교과서에서 국악이 30~40% 가량 차지하고 있다.  


이날 모인 국악 명인들은 학교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국가무형문화재 판소리 보유자인 신영희 명창은 “학교에서 배워야 어른이 돼서도 국악을 찾는다”고 소리를 높였다. 또 거문고 보유자인 김영재 명인은 “어렸을 때부터 학교에서 교육을 받아야 악기 이름도 알고 춤도 익히며 대한민국의 정신을 배울 수 있다”면서 “국악교육진흥법 제정 등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