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수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외곽 소도시 부차의 한 공동묘지에 매장을 앞둔 수십 구의 민간인 희생자 시신이 놓여 있다. [AP=연합뉴스]](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205/13/bf03162f-766e-417b-a953-47f2b2f0a488.jpg)
지난달 수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외곽 소도시 부차의 한 공동묘지에 매장을 앞둔 수십 구의 민간인 희생자 시신이 놓여 있다. [AP=연합뉴스]
유엔 인권이사회는 12일(현지시간) 특별회의에서 표결을 거쳐 이 같은 내용의 결의안을 통과시켰다고 로이터·AFP 통신 등 외신이 전했다. 47개 이사국 가운데 33개국이 결의안에 찬성했으며, 중국과 동부 아프리카의 에리트레아 2개국은 반대했다. 인도·파키스탄·쿠바 등 12개국은 기권했다.
한국도 공동 제안국으로서 찬성표를 던졌다. 외교부는 13일 "우크라이나 내 민간인 학살 정황 등 인권 침해 보도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독립적인 조사를 통한 효과적인 책임 규명이 중요하다는 입장을 견지했다"며 "이번 이사회 특별회기에서 채택된 결의에 찬성했다"고 밝혔다. 반대한 중국 측은 "최근 몇 년간 (이사회가) 정치화되고 대립이 증가하고 있어 신뢰성 등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의혹 당사자인 러시아는 표결에 참여하지 않았다. 러시아는 지난달 7일 표결로 이사국 자격이 중단되자 이사회를 탈퇴했다. 옵서버 자격으로 참석이 가능했지만, 끝내 대표단을 보내지 않았다.
러시아는 인권이사회의 결의안에 반발했다. 주제네바 유엔 기구의 러시아 대표인 겐나디 가틸로프 대사는 표결 전 "서방이 우크라이나 사태를 촉발한 진짜 원인을 논의하고 해결을 모색하는 대신, 러시아를 악마화하기 위한 정치적 이벤트를 조직했다"고 말했다.
결의안에 따라 유엔 인권조사위원회(COI)는 우크라이나에 조사단을 파견해 러시아군의 민간인 무단 처형과 고문, 아동 학대 등 각종 인권 침해 범죄 의혹을 심층 조사할 계획이다. COI는 오는 9월 정기회의 때 중간 진행 경과를 보고한 뒤 내년 3월 종결 보고서를 제출한다.
결의안은 또 러시아의 우크라이나인 강제 이주에 대해서도 제한 없는 인도주의적 접근을 허용하고, 당사자의 이름과 체류 장소를 제출하도록 러시아 당국에 촉구했다.
이날 유엔은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지역에서 지금까지 1000구의 시신이 수습됐다고 밝혔다. 미셸 바첼레트 유엔 인권 최고대표는 "키이우 북부 지역에서 즉결 처형을 포함해 러시아군의 불법 살인 규모는 충격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러시아는 부차 등 키이우 거리에 있던 시신은 러시아군의 신뢰를 떨어뜨리기 위해 연출됐다고 주장해왔다.
앞서 우크라이나 정부는 수도 키이우 인근 소도시 부차와 북부 체르니히우, 동부 하르키우, 북동부 수미 등 러시아군 점령지에서 자행됐을 가능성이 있는 전쟁범죄를 조사해 그 결과를 내년 초까지 발표하자는 내용의 결의안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