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석열 대통령이 13일 첫 현장 행보로 서울 중구 명동 국제금융센터를 찾아 거시금융상황점검회의를 주재했다. 후보 시절부터 경제 현장과 시장을 강조해온 윤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서도 다시 한 번 "현장에서 답을 찾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취임 후 첫 현장 일정으로 거시금융상황점검회의 주재를 택할 정도로 대통령실이 보는 경제 상황은 심각하다. 이를 해소해나가기 위한 방안으로 윤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강조했던 민간 협력과 현장을 이날 다시 언급했다.
윤 대통령은 “어제 소상공인에 대한 온전한 손실 보상과 민생 안정을 위한 추경안을 편성했지만, 국민께서 피부로 느끼는 경제는 매우 어렵다”며 “문제를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서는 늘 현장에서 답을 찾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새 정부는 현장에서 답을 찾고 민간 전문가들과 꾸준히 소통하면서 더 나은 정책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고 해도 그것이 시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또 경제 주체들의 정서와 판단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를 세밀하게 고려해야 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에는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 등 정부 측 인사 외에 최재영 국제금융센터 원장, 박석길 제이피 모건(JP Morgan) 이코노미스트, 김경민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등의 민간 전문가가 참석했다.
최재영 원장은 보고에서 ”실물 경제 성장은 둔화하고 물가는 상승하는 슬로우플레이션이 진행되고 있다. 이 상황이 심화하면 스태그플레이션과 금융 위기 국면으로도 진입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이후 비공개로 진행된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경기 하방 리스크가 커지고, 특히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전날 국무회의에서 심의ㆍ의결한 59조 4000억원 규모의 추경안이 물가를 자극할 수 있다는 일부의 지적에 대해선 “국채 발행 없이 지출구조조정과 초과 세수 등을 재원으로 추진돼 물가 상승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고 한다.
윤 대통령은 마무리 발언에서 ”지정학적 위기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 문제는 정부와 기업이 적극 협력하여 대응해 나가겠다”며 “잠재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재정지출은 지속하되, 과감한 지출 구조조정 등으로 재정 건전성을 확고히해 나가겠다”고 말했다.